우리말글. 한자

4. 한자의 허사 한자공부

백수.白水 2013. 9. 27. 20:29

2010/10/10

 

 

4.한자의 허사 한자공부  

  

1.: 볼 견, 보일 견, 뵐 현, 나타날 현, 당할 견

(): 보다, 발견하다, 만나 보다, 생각하다

行其庭 不見其人: 君欲見之召之 則不往見之

 

(): 수동을 나타냄 (당하다)

見逐於君: 임금에게 축출을 당하였다. (쫓겨났다)

信而見疑, 忠而被謗 (史記): 진실했으나 의심을 받았고, 충성스러웠으나 비방 받았다.

所見推許 (韓愈):

爲見忌嫉者, 橫致脣吻 (柳宗元):

本來求解脫, 見受驅馳 (拾得詩)

(): 뵈다 (웃 어른을 만나 봄) 謁見:

(): 나타나다, 나타내다

字源: 會意字. +인 사람 위에 큰 눈을 얹어, ‘무엇을 명확히 보다의 뜻을 나타냄.

 

2.: 사람 자, 것 자, 어조사 자

: ~하는 사람 (놈 자, 사람 자)

逐鹿者 不顧兎: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

: ~라 하는 것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이라는 것은 天下大本이다

: 시간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쓰임

昔者 吾夫死於虎: 옛날에 나의 남편이 호랑이에게 죽음을 당하였다.

今者: 지금, 요즈음

: 장소를 가리켜 이름 (곳 자) 請更諸爽愷者:

: 어세를 강하게 하기 위해 쓰는 助詞 (어조사 자) 不然者:

不殺者爲楚國患: 죽이지 않는 것은 초나라에 우환이 된다.

字源: 金文은 받침대 위에 나무를 쌓아 놓고 불을 때는 모양을 형상화 하여,

익히다의 뜻을 나타냄. ‘原字. 假借하여 의 뜻으로 쓰임.

 

3.: 오직 유, 대답할 유

: 오직, 다만 (=, ) 唯我獨尊: 이 세상에서 나보다 더 높은 것이 없다.

其唯聖人乎:

: (=yes) ? ‘하고 대답함. ‘보다 공손한 말

唯唯: , 네 하고 공손히 대답하는 소리

父召無諾, 先生召無諾, 唯而起: 아버지가 부르면 하고 대답하지 말고,

선생이 부르면 하고 대답하지 말고, ‘하고 대답하고 일어서야 한다.

~ : 다만 ~뿐이다. 天下唯有斯人耳: 천하에 다만 이 사람이 있을 뿐이다.

: (비록 수)와 통용 唯天子亦不說也:

(): (누구 수)同字

字源: 形聲字. +?()

 

4.: 어조사 야

: 문장의 끝에서 단정을 나타내는 조사로 쓰임 孔子 聖人也: 공자는 성인이다.

: 문장의 가운데에서 그 뜻을 강하게 하는 구실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도라는 것은 잠깐이라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

鳥之將死 其鳴也哀: 새가 죽으려 할 때 그 울음이 슬프다.

: 이름을 부를 때 (呼格 助詞) 由也 女聞六言矣乎?: , 너는 六言을 들었느냐?

: 의문이나 감탄을 나타내는 경우 此誰也?: 이는 누구인가?

甚矣 五衰也: 심하도다, 나의 쇠약함이여.

: 반어를 나타내는 助詞

君子何患乎無兄弟也: 군자가 어찌 형제가 없음을 근심하리?

字源: 象形字. 뱀의 모양을 본 뜸. 假借하여 어조사로 씀.

 

5.: 수염 수, 잠깐 수, 필요할 수, 모름지기 수

: 수염 ((수염 수)와 통용 須眉: 수염과 눈썹

: 잠깐 (副詞)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도는 잠깐이라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

: 필요하다 必須: 꼭 필요함, 없어서는 아니 됨.

: 모름지기 (副詞) 先須大其志: 먼저 모름지기 그 뜻을 크게 하다.

字源: 象形字. 얼굴에 수염이 난 사람을 본떠,‘수염의 뜻을 나타냄.

篆文+삼의 會意

 

6.: 어조사 어, 탄식하는 소리 오

(): 장소를 나타냄 (~, ~으로) 忠言逆於耳: 충성스런 말은 귀에 거슬린다.

(): 사람을 상대할 경우 (~에게)

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기가 싫어하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

(): 비교의 뜻 (~보다)

靑出於藍而靑於藍: 푸른 색은 쪽 빛에서 나왔으나, 쪽 빛보다 푸르다.

(앞 구의 ‘1 장소의 의미

(): 수동의 뜻 萬乘之國 被圍於趙: 만승의 나라가 조나라에 포위되었다.

(): 감탄의 뜻 於乎(오호): 감탄하는 소리

字源: 象形字. 본디 (까마귀 오)와 같음. 까마귀의 울음소리의 의성어에서

감탄사 로 쓰임.

參考: ?(4)俗子

 

7.: 이미 이, 따름 이, 그칠 이

: 이미 - 過去時制를 나타내는 副詞

輕舟已過萬重山: 가볍게 떠가는 배가 벌써(이미) 여러 겹이나 되는 산들을 지나갔다.

: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 - 限定을 나타내는 助詞

所謂空言已: 이른바 헛된 말일 뿐이다.

: 그치다, 그만두다 (動詞) 學不可以已: 배움은 (중도에서) 그만두어서는 안 된다.

字源: 象形字. 농경 도구인 쟁기의 모양을 본뜸. 그치다,이미, ~뿐등의 뜻으로 차용함.

 

8.: 옳을 가, 들을 가, 가히 가

: 좋다, 옳다

人而無信 不知其可也: 사람이신용이 없으면 그 옳은 것을 알지 못한다

(즉 쓸만한 데가 없다)

: 듣는다 許可: 許諾함을 듣다

: 가히, (可能, 推測의 뜻) 知足可樂 務貪則憂: 만족할 줄 알면 가히 즐거울 것이요, 탐욕에 힘쓰면 근심스러울 것이다.

可以: ~할 수 있다 (可能의 뜻)

波靜風順 可以行船: 물결이 잔잔하고 바람이 순하니 배를 가게 할 수 있다

可謂: 가히 이를 수 있다. 可謂仁也: 인이라고 이를(말할) 수 있다.

字源: 會意字. +

 

9.: 장차 장, 장수 장, 거느릴 장, 나아갈 장

: 未來時制를 나타내는 副詞 (장차, 바야흐로)

李白乘舟將欲行: 이백이 배를 타고 바야흐로 () 떠나려 하다.

: 장수 (名詞) 强將之下無弱卒: 강한 장수의 밑에는 약한 병졸이 없다.

: 거느리다 (動詞) 將軍擊趙: 군사를 거느리고 조나라를 치다.

: 나아가다 (動詞)

日就月將: 학문이 날로 달로 진보함. (날로 나아가고 달로 나아가다)

字源: 形聲字. ++ ()

 

10.: 써 이

: , ~으로써, ~으로 (= with, = according to)

事親以孝: 어버이 섬기기를 효로써 하라

衆客以次就坐: 여러 손님이 차례에 따라 앉았다.

: ~으로써 하다 (= do with)

彼以其富 我以吾仁: 저들이 를 가지고 한다면, 나는 으로써 할 것이다.

: ~하여서, ~으로써 (시간적으로 앞뒤의 두 가지 행위를 연결시키는 구실)

殺身以成仁: 목숨을 희생시켜 인을 이루느니라.

: ‘그침’ (와 같은 뜻)

字源: 象形字. 쟁기의 모양을 본뜸.

 

11.: 같을 여, 만일 여

: 같다, 같이

聞人之過失 如聞父母之名: 남의 잘못을 들으면 부모의 이름을 듣는 것같이 하라.

: 만약 (= if)

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 만약 시를 짓지 못한다면 金谷園罰酒로써 벌한다.

如何: 어떠한가? 汝學所至如何: 너의 학문이 이른 바가 어떠한가?

: 어조사 여 (형용사의 어미에 붙여 과 같은 뜻으로 쓰임 突如, 勃如,

字源: 形聲字. +()

 

12.: 너 이, 뿐 이

: 2인칭 대명사 () 爾曹: 너희들 (= 汝曹)

: 限定을 나타내는 助詞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

有本者如是 是之取爾: 근본이라는 것은 이와 같으니, 이를 취할 따름이다.

字源: 象形字. 아름답고 성()한 꽃의 뜻을 나타냄. 假借하여 2인칭으로 씀.

 

13.: 가르칠 교, 하여금 교

: 가르치다. 至要莫如敎子: 지극히 중요함은 자식을 가르치는 것만한 것이 없다.

: 使役의 뜻 (~에게 ~하게 하다)

不敎胡馬度陰山: 오랑캐의 말이 음산을 넘지 못하게 했다.

字源: 形聲字.

 

14.: 할 위, 만들 위, 다스릴 위, 삼을 위, 행위 위, 될 위, 위할 위

: 하다 (= do)

得一時之榮 吾不爲也: 한 때의 영화를 누리는 것은 나는 하지 않겠다.

: 만들다 (= make)

爲蛇足者 終亡其酒: 뱀의 발을 만들던 사람은 마침내 그 술을 잃고 말았다.

: 다스리다 何以爲民: 어떻게 백성을 다스릴 것인가?

: ~으로 삼다 (= make) 必以是爲主焉: 반드시 이것으로써 주장을 삼다.

: 행위 有爲之才: 큰 일을 할 수 있는 재능

: 되다 (= become)

小人 有勇而無禮 爲盜: 소인이 용맹만 있고 예의가 없으면 도둑이 된다.

: 위하여 (= for)

爲人謀而不忠乎: 남을 위하여 일함에 不忠하지는 않았을까?

: 영어의 be 동사와 같은 구실 (~~이다)

勤爲無價之寶: 근면함은 값으로 따질 수 없는 보배이다.

字源: 甲骨文會意로서, +

 

15.: 어찌 기, 개가 개

(): 어찌 豈有此理: 어찌 그럴 리가 있으랴.

豈不: 어찌 ~아니하리 豈不殉死哉: 어찌 殉死하지 아니하리오.

~: 어찌 ~하랴 豈可他求哉: 어찌 가히 다른 데서 구하리오.

~: 어찌 ~하랴 (~와 같음) 豈望報乎: 어찌 보답을 바라겠느냐.

(): (개가 개)와 통용 凱樂飮酒:

(): (화락할 개)와 통용 愷弟君子:

字源: 象形字. 위에 장식이 붙은 북을 본뜬 모양으로

전승(戰勝)의 기쁨의 음악의 뜻에서 파생하여, ‘즐기다의 뜻을 나타냄

 

16.: 고칠 경, 시각 경, 다시 갱

(): 고치다 更張: 해이한 것을 고쳐서 새롭고 긴장되게 함

(): 시각의 단위

三更: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누었을 때 그 세 번째, 子正 무렵을 말함.

(): 다시

更生: 다시 살아남. 못쓰게 된 것을 고쳐서 다시 쓸 수 있게 만듬.

更選: 다시 뽑음 更新: 다시 새로워짐 更少年: 다시 젊어짐

更進: 다시 나아감, 다시 드림 字源: 會意字. 둥글월문+

 

17.: 구차할 구, 진실로 구, 만약 구

: 구차하다 苟且偸安: 구차하게 (눈 앞의) 안일함만을 취함.

臨財毋苟得: 재물에 임하여는 구차하게 얻지 말라.

: 假定의 뜻 (진실로, 만약, 가령 ~한다면)

苟志於仁矣 無惡也: 진실로 인에 뜻을 둔다면 나쁨이 없다.

苟爲後義而先利 不奪不厭: 가령(만약) 를 뒤로하고 를 앞세운다면 남의 것을 빼앗지 않고는 물리지 않을 것이다.

字源: 形聲字. ?() + ()

參考:(삼갈 극)과는 別字.

 

18.: 너 약, 같을 약, 만일 약

: 2인칭 대명사 () 若行之無忽: 너희는 그것을 행하여 소홀함이 없게 하라.

: 같다, 같이

子之廢學 若吾斷斯織也:네가 공부를 그만두는것은 내가 이 베를 끊어버리는 것과 같다.

: 만약 (= if)

學若無成 不復還: 학문이 만약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시 돌아가지 않겠다.

~ ~: 만약 ~한다면 (= if ~, then ~ )

若不修德 則一世而亡: 만일 덕을 닦지 않으면 다음 세대로 넘어가기 전에 망할 것이다.

字源: 象形字. 甲骨文은 머리를 흐트러뜨리고 정신 없이 신의(神意)를 받아 듣는 무녀(巫女)의 모양을 형상화하여, ‘신의에 따르다의 뜻을 나타냄.

 

19.: 그 기, 어조사 기

: (= the), 그의 (= his), 그것의 (= its)

不知其人 視其友: (=the) 사람을 알지 못하거든 그의(=his) 친구를 보라.

: 아마, 대개 (= perhaps) 其我之謂矣: 아마 나를 말하는 것이겠지.

: 별다른 뜻이 없이 語感을 돕는 구실 北風其冷兮: 북녘 땅 바람이 차기도 하건만

其如~: ~을 어찌하리오. 其如人民何: 백성들을 어찌할 것인가?

字源: 象形字. 곡식을 까부는 키의 모양을 본뜸.

 

20.: 같을 유, 오히려 유, 망설일 유, 가히 유, 꾀할 유, 움직일 요

(): 마치 ~과 같다. 過猶不及: 지남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 오히려 猶爲不足: 오히려 족하지 않음 (부족함)

(): 망설이다, 주저하다.

猶豫: 의심하여 결정하지 못하는 모양 猶豫未決: 망설여 결정짓지 못함

(): 가히 (助動詞 可와 뜻이 같음)

(): 와 같이 씀

字源: 形聲字. 개사슴록변+()

 

21.: 말 이을 이, 너 이, 뿐 이

A B: 順接接續詞 (= and): A이며(하며) 그리고 B

疑人而言之 是不智也: 남을 의심하면서 말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함이다.

A B: 逆接接續詞 (= but): A지만 그러나 B

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봉양코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리지 않는다 (돌아가신다)

: 가정문에서 만일 ~한다면의 뜻으로도 쓰인다.

人而無志終身無成: 사람이 뜻이 없다면 종신토록 이룸이 없다.

: 2인칭 대명사 (= you)

而忘越王之殺而父邪: 너는 월 왕이 너의 부친을 죽인 것을 잊었느냐.

而已 / 而已矣: 한정을 나타내는 조사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선생님의 忠恕일 따름이다.

字源: 象形字. 수염을 본떠 수염의 뜻을 나타냄. 假借하여 접속사(接續詞),

2인칭으로 쓰임.

 

22.: 바 소, 처소 소

: ~ 한 바 無所不知: 모르는 바가 없다

奪其所憎而與其所愛: 미워하는 자에게서 빼앗아 좋아하는 사람에게 준다.

: 처소, 장소 適材適所: 적당한 인재를 적당한 자리에

: 수동의 뜻 後則爲人所制: 뒤떨어지면 남에게 제압당하게 된다.

所以: 이유, 원인, 수단

此吾國之所以興隆也: 이것이 우리나라가 흥하여 번성하게 된 이유이다.

字源: 會意字. +

 

23.: 굳셀 감, 감히 할 감, 감히 감

: 굳세다 勇敢: 용맹하고 굳셈

: 감히 (= dare to) 子無敢食我也: 너는 감히 나를 잡아먹지 못한다.

敢不: 어찌 ~않을 수 있으랴 敢不走乎: 어찌 달아나지 않을 수 있으랴.

不敢不: 반드시 ~하지 않을 수 없다 不敢不盡心: 마음을 다하지 않을 수 없다.

字源: 會意字. 金文++의 변형(變形)

 

24.: 어찌 갈

: 어찌 (, , 와 같이 쓰임) 吾曷愛一牛: 내가 어찌 소 한 마리를 아끼리오.

字源: 形聲字. +?()

 

25.: 어조사 의

: 文章의 끝에서 斷定을 나타내는 조사로 쓰임

朝聞道 夕死可矣: 아침에 도를 들어 깨달을 수 있다면 그날 저녁에 죽어도 좋다.

: 과거나 미래에 있을 사실을 확인하는 뜻의 조사

王無親臣矣: 왕에게는 가까이 믿을 만한 신하가 없었다.

禍至而不能見 亡無日矣: 화가 이르러도 알아볼 수 없다면 망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 어떤 행위의 실현 또는 어떤 일의 완성을 희망하는 祈願의 뜻. 감탄의 뜻.

先生休矣: 선생은 쉬시기를!

字源: 象形字. 사람이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뜸.

 

26.: 어조사 재, 비롯할 재

: 文章의 끝에서 疑問이나 反語를 나타내는 助詞로 쓰임

天實爲之 謂之何哉: 하늘에서 실제로 이를 하셨으니 이것을 무엇이라 이르리오?

安可不悲哉: 어찌 슬프지 않을 수 있으랴.

: 感歎을 나타내는 助詞로 쓰임

小不忽而亂大謀 惜哉: 조금 더 참지 못하고 큰 계획을 혼란 시키다니, 아깝도다!

: 시작함 (와 같이 씀)

哉生明: 달의 밝은 부분이 처음 생긴다는 뜻으로, 음력 초 사흗날

哉生魄: 달의 검은 부분이 처음 생긴다는 뜻으로, 음력 열 엿샛날

字源: 形聲字

 

27.: 어조사 야

: 疑問을 나타내는 助詞 將軍怯耶: 장군은 겁나는가?

A, B?: A인가, B인가?

汝其知也耶 其不知也耶?: 너는 그것을 아는가, 그것을 모르는가?

字源: 會意字. +(). 의 속자.지명을 나타냄. 假借하여 의문,반어의 助詞로 씀

 

28.: 어조사 우

: ~, ~으로 吾十有五而志于學: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

: ~까지 三歲之習至于八十: 세살 때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 比較의 뜻 (~보다) 天下莫柔弱于水: 천하에 물보다 더 柔弱한 것은 없다.

字源: 象形字. 트집간 활을 바로잡는 제구를 본뜸.

 

29.: 있을 유, 가질 유

: ~이 있다

人無遠慮 必有近憂: 사람이 앞일을 헤아려 생각하지 않으면 반드시 머지않아 근심이 있다 (생긴다).

: 가지다 有國者 不可以不愼: 나라를 가진 자는 삼가지 않을 수 없다.

: 어떤 (= certain), 어느 (= a)

有朋自遠方來: (어떤) 친구가 먼 곳으로부터 온다.

: 숫자를 표시할 때 十有五 = 十五

字源: 形聲字. +()

參考: 문자의 성립상으로 의부(意符)이지만, <<康熙字典>>에 따라 月部로 분류함.

 

30.: 편안할 안, 어찌 안, 어디에 안

: 편안하다 (形容詞)

但得家中一片平安音 可也: 다만 집안이 편안하다는 한 조각의 소식이면 되겠다.

: 편안하게 되다 (動詞)

制之於外 以安其內: 밖에서 제지하여 그 안을 편안하게 하다.

: 어찌 (反語를 나타내는 副詞)

燕雀安知鴻鵠之志哉: 제비와 참새가 어찌 기러기나 따오기의 뜻을 알겠느냐!

: 어디에 (疑問代名詞) 今蛇安在乎: 지금 뱀은 어디에 있는가?

安能: 어찌 ~할 수 있으랴?

安能以皓皓之白 而蒙世俗之塵埃乎: 어찌 이 희고도 흰 깨끗함을 가지고 세속의 더러운 티끌을 입을까 보냐

字源: 會意字. +

 

31.: 어찌 언, 어조사 언, 이 언

: 어찌 (反語文) 割鷄焉用牛刀: 닭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랴.

: 말이나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助詞

附耳之言 勿聽焉: 귀에 대고 소곤대는 말을 듣지 말라.

: 여기에 (= 於是), 이것에 (= 於之)

晋國 天下莫强焉(=天下莫强於晋): 진나라, 천하에 이 보다(진나라 보다) 더 강한 나라가 없다.

字源: 象形字. 새의 모양을 본떠 노란 새의 뜻을 나타냄. 假借하여 疑問, 句末助士로 쓰임

 

32.: 이 시, 옳을 시, 바로잡을 시, 옳게 여길 시

: 指示代名詞 (= this) 是日: 이 날

: 옳다 (形容詞) 是非曲直: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 바로 잡다 (動詞) 是正: 잘못된 것을 바로 잡음

: 옳게 여기다 (動詞) 終是己見: 끝내 자기 의견이 옳다고 여겼다.

: ~이다 (敍述語로 쓰임)愼是護身之符: 삼가 조심함은 몸을 보호하는 부적이다.

是以: 이런 까닭에 是以民不從: 이런 까닭에 백성들이 따르지 않는 것이다.

字源: 會意字. 篆文+

 

33.: 이미 기

: 時間을 나타내는 副詞로서 過去를 표시 (이미)

旣學而歸: 이미 학문을 닦고 돌아왔다.

旣得權: 정당한 수단에 의해 이미 얻은 권리

旣往不咎: 이미 행한 일(已往之事)에 대해서는 나무라지 않음

字源: 形聲字. ?(향기로울 핍, 향기로울 급, 향기로울 벽, 향기로울 향) + 목멜 기

 

34.: 덮을 개, 뚜껑 개, 대개 개

: 덮다, 뚜껑 蓋世: (기개가) 세상을 덮음

: 대개 (= perhaps) 蓋自此始: 대개 이로부터 시작한다.

字源: 形聲字. ?() + ?()

 

35.: 누구 숙, 어느 숙

: 누구 (사람을 가리키는 疑問代名詞) 孰何以代之: 누가 이를 대신할 수 있는가?

弟子孰爲好學: 제자 중에서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 어느 것 (사물을 가리키는 疑問代名詞)

禮與食孰重: 은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A孰與B: AB 가운데 어느 것이 나은가?

韓孰與魏强: 한나라와 위나라를 비교하면 누가 강할까?

A孰若B: AB 가운데 어느 것이 나은가?

食孰若禮重: 음식은 예절과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字源: 會意字. +

 

36.: 어찌 내

奈何: 반어와 의문의 뜻 (어찌 ~할까?)

奈何言之: 어찌 그것을 말하랴. 奈若何: 너를 어찌 할까?

字源: 會意字. 본디 +. 후에 잘못 변형되어 +로 되었음.

 

37.: 일 고, 옛 고, 본디 고, 짐짓 고, 고로 고

: , 사건, 事故

: 옛날 溫故而知新: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

: 본디 (본래) 故賤人也: 본래 천인이었다.

: 짐짓, 일부러, 고의로 故不爲禮: 일부러 예를 행하지 아니하다.

: 고로, 그러므로 (= therefore)

故愚民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고로(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펼 수 없는 사람이 많다.

是故: 이런 까닭으로

是故誠者天之道也: 이런 까닭으로 정성을 다하는 것이 하늘의 도다.

字源: 形聲字. 둥글월문+()

 

38.: 비록 수

: 비록 ~이라 할지라도

人雖之愚責人則明: 사람이 비록 지극히 어리석더라도 남을 책망하는 데는 똑똑하다.

雖長大好帶劍 中情怯耳: 비록 몸은 장대하고 칼을 즐겨 차고 있다 할지라도 마음 속으로는 겁내고 있을 뿐이다.

雖然: 비록 ~이라 할지라도, 비록 이와 같을지라도

雖然異姓 同心協力: 비록 성은 다르다 할지라도 한 마음으로 협력하리라.

字源: 形聲字. ?+()

 

39.: 빌미(조짐) , 거의 기, 얼마 기

: 조짐 (幾微)

: 거의 幾至死境: 거의 죽음의 문턱에 이름

: 얼마 (의 많고 적음을 나타낸다) 幾年: 몇 해

幾何: 얼마쯤 爲歡幾何: 기쁨을 삼음이 얼마인고?

庶幾: 거의, 거의 되려 함

回也 其庶幾乎: 안회는 거의 되려 한다. (거의 도에 통달하였다)

字源: 會意字. 작을 유(古字) +

 

40.: 더불어 여, 줄 여, 좇을 여, 보다는 여, 그럴까 여

: ~, ~와 더불어 其心 與人同也: 그 마음은 사람과 (더불어) 같다.

: 주다 (動詞)

玉斗一雙欲與亞父: 옥으로 만든 국자 한 쌍을 亞父에게 주고자 한다.

: 찬성하다 (動詞) 吾與點也: 나는 曾點에게 찬성하겠다.

: 疑問이나 反語를 나타내는 助詞 可不愼與: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與其AB / 與其A不如B: A보다는 B하는 편이 낫다.

禮 與其奢也寧儉: 는 사치보다는 오히려 검약에 있다.

字源: 形聲字.

 

41.: 편안할 녕, 문안할 녕, 어찌 녕, 차라리 녕

: 편안하다. 寧日: 편안한 날

: 문안하다. 歸寧父母: 돌아가 부모님께 문안 드리다.

: 어찌 (反語의 뜻) 寧無不平之心乎: 어찌 불평하는 마음이 없겠습니까.

王侯將相 寧有種乎: 왕후장상이 어찌 씨가 있으리오.

: 차라리 (比較選擇의 뜻)

寧爲鷄口 勿爲牛後: 차라리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말아라

 

'우리말글.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시 공부(梅泉의 절명시)   (0) 2013.09.27
5. 한문의 품사  (0) 2013.09.27
3. 한자의 일반적 필순   (0) 2013.09.27
2. 한자의 부수  (0) 2013.09.27
1. 한자의 부수. 필순. 자획의 명칭.  (0) 201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