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陳泰夏(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 경제풍월
1.「然」字와 개
----------------------------------------------------------------------------------------------------
○ 의류상형(依類象形=象形 - 같은 류에 의거하여 모양을 본 떴다)
-의류(依類, 같은 류에 의거하여) -상형(象形, 어떤 구체적인 사물의 형상)
○ 형성상익(形聲相益=指事 - 모양과 소리를 서로 더 한다)
-형형상익(形形相益: 회의,會意) -형성상익(形聲相益: 형성,形聲)
※燃(탈 연): 불이 타다, 사르다, 불을 붙이다. 그러하다, 틀림이 없다. 然(그럴 연): 그러하다, ~이다, 불타다, 불태우다, 밝다
1.상형문자(象形文字): 日, 月, 火, 水, 木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2. 지사문자(指事文字): 一, 二, 三, 上, 中, 下
특별한 형체가 없고 구체적인 모양으로 나타낼 수 없는 것들을 간단한 선이나 점 등의 기호로 나타낸 글자.
3.회의문자(會意文字): 明, 好, 林, 男, 內
둘 이상의 글자가 합쳐져서 새로운 뜻의 글자가 만들어진 것
4.형성문자(形聲文字): 問, 淸, 記, 忌, 場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음을 나타내는 부분을 합쳐 만든 글자
5.전주문자(轉注文字)
-.樂 음악 악 → 즐거울 락 → 좋아할 요
음악은'즐겁다'라는 뜻이 나왔고, 다시 좋아한다는 뜻이 나왔다.
-.惡 악할 악 → 미워할 오
악한 것은 미워하게 마련이므로 '미워하다'라는 뜻이 나왔다
-.更 고칠 경 → 다시 갱
고칠 것은 다시 해야 된다는 데서 '다시'라는 뜻이 나왔다.
-.度: 법 도→ 헤아릴 탁
‘물건을 재다’는 뜻에서 마음을 '헤아리다'라는 뜻이 나왔다.
6.가차문자(假借文字)
弗($와 모양이 비슷한 빌림) 亞細亞, 印度, 印尼(발음만 빌림)
-----------------------------------------------------------------------------------------------------
2.「家」字와 돼지
3.「來」字와 보리밭 밟기
이른봄에 보리밭 밟기를 하는 시골 아주머니들
4.「氏」字와 씨앗
3400년 전에 만들어진 갑골문(甲骨文)에서 ‘ 氏(씨)’에 대한
자형을 찾아보면 씨(種子)에서 뿌리가 나온 뒤에 싹이
나온 모양을 그대로 그린 상형문자임을 알수 있다.>
5.「甲」字와 껍질
'우리말글.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4. 17) 漢字도 우리 民族이 만든 글 (0) | 2014.04.02 |
---|---|
(6∼10) 漢字도 우리 民族이 만든 글 (0) | 2014.04.01 |
조선 왕들, 백성 금기어 한 자라도 줄이려 '한 글자' 이름 썼다 (0) | 2014.02.11 |
늘목동 (0) | 2014.01.28 |
고구려어 (0) | 201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