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글. 한자

고구려어

백수.白水 2013. 11. 16. 10:39

 

고구려어

고구려어(高句麗語)고구려에서 쓰인 언어를 지칭한다.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같은 언어권[1]부여, 옥저, 동예가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읍루, 말갈(후대의 여진족)의 언어는 고구려와 유독 다르다[2]는 기록이 있어 부여어족퉁구스어족과는 다른 독립된 어군으로 여겨지고 있다.

직접적으로 고구려어의 뜻이 전해지는 단어는 주몽(명사수),구루(/),다물(옛 영토를 되찾다) 정도로 그 실상을 알수있는 자료가 부족해 인명, 지명, 관직, 연호등에 전해지는 고구려어를 비교언어학과 한자음 재구를 통해 추출하고 있다.

4세기 이후의 기록에는 고구려는 백제와 언어가 같다는 기록[3]이 있어 백제어와 고구려어는 좋은 비교대상이 된다.

 

고구려어 계통론

한국어의 형성은 코노 로쿠로(河野六郞, 1957) 등이 주장한 것을 이기문 교수가 그대로 받아들인 신라어 근간설 즉 한국어는 남방계(한계)와 북방계(부여계)로 갈라져 있고, 신라어가 한국어 형성의 근간이 되었다는 학설이 일반적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의 김수경 교수를 비롯하여 김병제, 김영황, 홍기문, 류렬 교수 등이 신라어 근간설을 맹렬히 비판하며 한국어는 고구려어가 근간으로 형성되었다는 민족어 단일 기원설을 내세우고 있다. 최근에는 백제어 연구와 함께 고구려어의 한자음 등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고구려어의 형태

고구려 금석문엔 한문의 어순과 다른 일종의 변체한문(變體漢文)이 쓰여져 한국어의 요소를 다분히 지니고 있음이 확인된다. 556년에 고구려 평양성에서 만들어진 평양성석각(平壤城石刻) 4석에 쓰인 한문을 보면丙戌十二月中漢城下後()小兄文達節自此西北行步之.병술년 12월에 한성 하후부의 소형 문달이 여기서부터 서북방향을 걸쳤다(걸쳐 축성하였다).

여기서 ,,는 한문법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글자들로 각각 ''-, ''-때에, ''는 한국어의 종결어미 '-'의 영향을 받아 쓰여진 것으로 중원고구려비,남산신성비에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고구려의 변체한문은 신라에 전해져 이두 성립에 큰 영향을 준다. [4]

 

어휘

()을 부르는 어휘의 비교

 

고구려

부여

백제

신라

가야

한자

鞬吉支/於羅瑕

居西干

발음

건길지 / 어라하

거서간

가이

/

존칭접미사

(ki) [5]

*

 

임병준(2000)고구려말의 어휘 일람[6]

k, t, p 등은 거센소리의 표기가 아니다.

 

고구려어 수록 자료

삼국지 위지 고구려전. 광개토왕릉비. 삼국사기 지리지 권35~37. 한원 고구려전

 

주석

1. 三國志 魏志 東夷 高句麗傳: 東夷舊語 以爲夫餘別種言語諸事 多與夫餘同.(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이라 언어가 같은것이 많았다)三國志 魏志 東夷 沃沮傳: 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옥저는 고구려와 언어가 같다)三國志 魏志 東夷 濊傳 :言語法俗大抵與句麗同 (예족은 고구려와 언어와 풍습이 같다)

 

2. 後漢書:挹婁,古肅愼之國也...人形似夫餘, 而言語各異(후한서 : 읍루는 옛 숙신이다..사람들은 부여와 닮았지만 유독 언어가 다르다.)北史 勿吉,靺鞨 : 在高句麗北[...]言語獨異(북사 말갈 : 고구려 북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언어가 고구려와 다르다)

 梁書 百濟:今言語服章略與高驪同 (양서 백제전: 지금 언어와 복장이 고구려와 같다.)南史 百濟:言語服章略與高麗同(남사 백제전: 언어와 의복이 고구려와 같다)

3. 이도학(李 道 學) 2004 : 삼국의 상호 관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정체성

4. 도수희(2003)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자질과 그 어휘 연구

5. 임병준(2000) 고구려말의 차자표기 연구

6. 류 렬(1983289) 의 오기로 판단했다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