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콩-새콩-여우콩 구분
<출처: 하늘피리의 블로그 http://blog.daum.net/scwtptkd/311 스크랩>
세가지 모두 야산이나 들판에서 자생하는 덩굴식물로 꽃 모양은 콩과 같고 색갈만 다릅니다. 하지만 잎이 비슷하기 때문에 꽃과 열매가 맺기 전에 잎으로만 구분해야 한다면 매우 어렵습니다. 다행히 잎이 나오고 얼마되지 않아 꽃이 피기 때문에 잎만 있는 기간이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 다행입니다.
잎과 열매는 식용으로 가능하지만 워낙 작고 왜소하기 때문에 이들 덩굴식물인 콩 풀 열매를 식용으로 먹는 경우는 좀처럼 없습니다... 옛날에는 기근때 식용했다고 하나 딱딱하고 맛도 별로 없는 열매를 먹을 것이 지천인 요즘에 먹는 사람들은 없습니다.
1. 돌콩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전체에 갈색 털이 많고,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것에 감겨 자라고, 잎은 어긋나며 3출 겹잎이고 짧은 털이 많고,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끝은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7∼8월 홍자색 꽃이 총상(總狀)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꽃부리는 길이 약 0.6㎝의 작은 나비 모양이고, 꽃받침은 종모양으로 5개의 톱니가 있습니다. 수술은 10개인데 각각 둘로 갈라지고, 열매는 협과로 납작하고 길며 갈색털이 빽빽이 납니다. 돌콩은 열매를 콩 대용으로 사용하고, 돌콩의 씨를 서목태, 야대두, 야뇨두라하여 보익, 보간, 거담제, 거풍해독, 근골동통, 산후제독, 소아감적 등에 약제로 사용합니다.
2. 새콩
한방에서는 뿌리를 양형두(兩型豆)라는 약재로 쓰는데, 사지동통에 효과가 있다 합니다. 야산이나, 들에서 자라고, 한해살이풀로서 덩굴성 식물이며 줄기와 잎에 많은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뒷면은 흰색을 띱니다. 턱잎은 좁은 달걀 모양이고 6개의 맥이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3∼6개가 달리고, 꽃받침은 털이 있고 끝이 5개로 갈라집니다. 화관은 나비 모양입니다. 열매는 협과이고 편평한 타원 모양이며 둘레를 따라 털이 없고, 약간 굽으며 3개의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 줄기 끝에 달린 꽃이 개화하지 않고 폐쇄화가 되어 자가수분을 통해 열매를 맺는 것이 특징이며, 종자는 작아서 그렇지 식용가능합니다.
3. 여우콩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여러해살이풀이며, 줄기는 덩굴모양이고 전체적으로 짧고 부드러운 황갈색털이 빽빽이 나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자루가 있는 3출겹잎이고, 작은잎은 길이 3∼5㎝, 나비 2.5∼4㎝의 거꿀달걀꼴로 두껍고, 아래쪽에 샘점이 있으며, 짧은 작은자루가 있습니다.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2∼4㎝의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길이 8∼10㎜의 노랑 나비모양 꽃이 핍니다. 기판(旗瓣)은 나비가 넓고 직립하며 익판(翼瓣)과 주판(舟瓣)은 가늘고 길며, 꽃받침의 끝은 5개로 갈라지는데, 아래쪽 갈라진 조각이 특히 길고 털과 샘점이 있습니다. 가을에 꼬투리는 붉게 익고 길이 1.5㎝이며 나비 1㎝정도 입니다. 그 속에 2개의 검정 종자가 있으며, 잎은 양혈(凉血)·해독·진통제로서 두통·복통·요통·산욕열·나력·종기 등의 치료에 쓰인다고 합니다. 또 뿌리는 어린이의 비감(脾疳) 외에 월경통·나력 등의 치료에 쓰입니다.
정 리
1. 줄기는 모두 덩굴식물입니다... 나무나 풀을 감고 올라갑니다.
돌콩과 새콩은 한해살이덩굴풀로 열매가 땅에 떨어져 다음해에 새싹으로 돋아 납니다...
여우콩 여러해살이덩굴풀입니다.
2. 잎은 모두 거꿀둥근달걀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특히 새콩은 잎에 잔털이 빽빽하게 나 있습니다...
3. 꽃은 모두 콩과 같은 모양이고, 돌콩의 꽃색갈은 연한자주색이며, 새콩의 꽃색갈은 진한 자주색이며, 여우콩은 노란색입니다. 돌콩과 새콩의 꽃에 무늬가 다른데, 돌콩은 윗 꽃잎에 연한 자주색이 전체적으로 물들어 있으며, 새콩은 가운데 끝으로 일부만 물들어 있습니다.
4. 열매는 새콩과 돌콩을 가장 많이 혼동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돌콩 열매꼬투리는 털이 많고, 불룩하며, 새콩 열매꼬투리는 털이 없으며, 납짝한 편입니다.
1. 잎
1. 돌콩 2. 새콩 3. 여우콩
2. 꽃
1. 돌콩 2. 새콩 3. 여우콩
3. 열매
1. 돌콩 2. 새콩 3. 여우콩
1. 아래 사진은 돌콩입니다.
2. 아래 사진은 새콩입니다.
3. 아래 사진은 여우콩입니다.
'야생화 .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꺽정봉에 오르다. (0) | 2014.07.28 |
---|---|
한여름의 들풀꽃 (0) | 2014.07.28 |
연꽃! 두물머리(양수리)에서... (0) | 2014.07.23 |
천일홍(千日紅)과 메리골드(천일화, 천수국, 만수국)외.... (0) | 2014.07.21 |
여름꽃! 산과 들을 수놓다 (0) | 201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