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고추잠자리의 결혼비행

백수.白水 2013. 10. 1. 15:39

 

곤충이,  1알 - 2애벌레 - 3번데기 - 4성충의 과정을 겪는 것을 완전변태라 하는데, 잠자리는

번데기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1알 - 2애벌레(수채) - 4성충의 3단계를 거치는 불완전변태를 한다.

 

수년간 물속에서 애벌레로 지내다가 뭍에 올라와 하늘을 날아 다닌 지 이제 겨우 몇 개월인데

해가 점점 짧아지고 날이 추워진다. 겨울이 오기 전에, 이 한 생명 다하기 전에 서둘러해야 할 일이 있다.

어서 좋은 짝 만나 짝을 짓고 알을 낳아야만 한다.

 

요즘 한창 잠자리가 군무를 벌이며 짝짓기에 여념이 없다.

가까이 다가서도 잘 도망가지 않는다. 텃밭 옆 창고지붕에 앉아있는 것을 찍었다.

 

암컷의 꼬리가 수컷의 가슴께 닿아있고, 수컷의 꼬리는 암컷을 머리를 끌어당기고 있다.

암컷은 수컷의 가슴께에서 정자를 받아간다고...

 

 

잠자리 두 마리가 69자세로 붙어서 날아다니는 것은 교미를 하기 위한 사랑놀이로 결혼비행이라고 한다.

이는 교미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짝짓기를 하기위한 전희행위라고 하는데 사진에서 위에 있는 것이 수컷이고 아래에 있는 것이 암컷이다.

 

수컷의 배가 훨씬 붉은데 짝짓기 상대를 찾은 수컷은 배 끝에 집게가 있어서 그것으로 암컷의 머리채를 낚아채고는 몇 분 동안 하늘을 날면서 끌고 다닌다고..보통은 연못이나 물가 풀밭에 자리를 잡고 교미를 한다.

 

암놈 생식기는 10개의 배 몸마디 중에서 9절에 있고, 수놈의 교미기관이 2개로서 9절에 생식기가 있고 2~3절에 부생식기(副生殖器)가 있다고 한다. 교미는 암컷이 여섯 다리로 수놈의 배와 꼬리를 움켜쥐고 자기 몸을 둥글게 구부려 수컷의 가슴부위에 있는 부생식기에 자신의 생식기를 갖다 대는 것으로 시작이 된다. 수컷이이 부생식기의 정자 덩어리를 붙여두면 암컷이 받아가는 것이다.

 

 

신문지를 펴놓고 잔대를 말리고 있는데 이곳으로도 날아왔다. 쫓아다니며 찍었다.

  

잠자리는 교미가 끝난 후에도 여전히 암수가 달라붙어 있는 상태로 연못이나 웅덩이에 알을 낳는데, 왕잠자리나 실잠자리는 창포 같은 부드러운 식물의 줄기에 배 끝을 대고 연()해서 알을 낳고, 그 밖에 대부분의 잠자리는 물속에 그냥 알을 떨어뜨린다. 잠자리가 물 위를 파문을 일으키면서 나는 것은 알 낳을 장소를 살피는 행위라고.

 

산란 후 2주일이면 부화하여 유충인 수채()’ 우리말로 학배기가 된다. 물속의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1년에서 수년까지 10~15번의 껍질을 벗어가며 물속에서만 사는데 턱이 발달해 장구벌레나 실지렁이, 올챙이뿐만 아니라 다른 학배기들을 잡아먹는 동족상잔도 벌인다고..

잠자리유충인 학배기는 올챙이를 잡아먹지만, 올챙이가 커서 개구리가 되면 거꾸로 잠자리를 잡아 먹는다.

 

잠자리는 나비와는 달리 번데기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 불완전변태(不完全變態)라서 애벌레는 물 속 생활이 끝날 때면 연못가 식물의 줄기로 기어올라 날개펴기를 하는데 애벌레의 머리 부분과 가슴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등짝이 Y자로 짜개지면서 드디어 잠자리로 빠져나온다. 수년 동안을 유충으로 생활하다 하늘을 날지만 잠자리의 생은 길지 않다.

<글:  http://jsapark.tistory.com/422. 탐진강과 함께하는 세상이야기에서 발췌>

 

 

 

자리의 암컷과 수컷은 부성기(副性器)로 판별한다. “부성기가 있으면 수컷이고, 부성기가 없으면 암컷이다. ‘부성기는 수컷의 배-상단에 있는데 교미(交尾)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수컷은 앞에서 끌고, 위에서 교미한다또 잠자리의 수컷의 꼬리에는 부속기’, ‘부속기가 있는데, 이것은 암컷 머리와 연결하는 연결고리다. 암컷의 꼬리에는 부속기가 없고, 대신에 꼬리 쪽에 산란(産卵)변과 미모(尾毛)라는 것이 있다

 

위쪽의 수컷은 아래의 암컷-머리 뒷부분을, 부속기와 부속기로는 연결하면, 암컷의 산란변을 수컷의 부성기와 연결한다. 이것이 교미이다. 교미가 끝나면 곧바로 산란변과 부성기가 분리되고, 암컷은 연결된 체로 나르면서 또는 단독으로 나르면서 산란변을 열어 알을 습지(濕地)에 투하한다.

<글,사진: http://blog.joins.com/masson 반도심층수에서>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두어 햇볕을 담아내다.  (0) 2013.10.10
2013년 시월 어느 날 가을풍경  (0) 2013.10.02
조금씩 거두다.  (0) 2013.10.01
일반땅콩과 슈퍼땅콩 그리고 검정땅콩.  (0) 2013.10.01
백도라지 씨받기  (0) 201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