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23(토)
4.9일 땅콩씨앗을 포트에 파종하였고, 5.5일 모종을 본밭에 옮겨 심었는데 벌써 다자라나 노란 꽃을 피웠다.
앞으로 수정과정을 거쳐서 열매를 맺으면 작년처럼 9.10일쯤이면 수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땅콩의 생육기간을 대략 150일쯤으로 보면 무리가 없겠다.
땅콩을 낙화생(落花生, 낙화생)으로도 부르는데 이는 꽃이 떨어져서 생긴다는 뜻이다.
식물은 대부분 꽃의 씨방부분이 변해서 열매가 되지만, 땅콩은 꽃가루받이가 끝나고 꽃잎이 떨어지면 씨방자루의 밑이 길게 뻗어 땅속으로 파고 들어 땅속에서 열매를 맺는 특성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땅의 수분증발을 막고 잡초발생을 억제할 목적으로 씌웠던 검정비닐멀칭을 가로로 가르고
자방병이 땅속으로 쉽게 파고 들도록 쭉 벌려서 벗겨내려 주었다.
수확량은 늘겠지만 앞으로 가뭄은 더 탈것이고 비닐이 걷힌 자리에 잡초가 많이 올라 올 텐데 걱정스럽다.
자방병(子房柄)이란 무엇인가.장자방(張子房, 장량)이 은거했다고 알려진 중국의 장가계(張家界),
그 장자방(張子房, 장량)이 아니라 자방병(子房柄) 말이다.
여기서 아들 子는 열매·씨를 의미하고, 柄은 자루 병이다. 풀면 씨방자루라는 말이며, 자성관(雌性管)으로도 부르는데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씨방의 밑 부분에 생기는 가늘고 긴 자루 모양의 부분을 말한다.
꽃은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에는 꽃가루가 있고, 속씨식물의 암꽃은 암술머리(柱頭)·암술대(花柱)·그리고 통통한 주머니모양의 씨방(子房)이 있는데, 그 속에 밑씨(胚囊)가 들어있다.
꽃가루받이(受粉)를 한 꽃가루가 자라서 씨방 안에 있는 밑씨와 결합(受精)하여 나중에 씨(種子)가 된다.
※ 남성의 정자와 여성의 난자를 배우체(配偶體)라 부르며 이 두 배우체의 결합을 수정(受精)이라고 하는데, 식물에서는 수술의 꽃가루가 웅성배우체(雄性配偶體, 수)이고 밑씨에 있는 배낭(胚囊)이 자성배우체(雌性配偶體, 암)이며, 두 배우체의 결합이 수정(受精)이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마 통에 작물이 큰다. (0) | 2018.07.02 |
---|---|
강수총량과 시간당강수량 (0) | 2018.06.30 |
아침 수덕산 풍경 (0) | 2018.06.22 |
탁구 (동영상) (0) | 2018.06.19 |
가랑비에 옷 젖는다.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