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씨식물과 겉씨식물
꽃식물은 밑씨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나뉜다.
식물의 씨앗이 씨앗껍질(종피,種皮)에 싸여있으면 속씨식물, 그렇지 않으면 겉씨식물로 분류한다.
속씨식물인 딸기의 경우 겉에 깨알 같은 게 붙어있는데 씹어보면 톡톡 깨지는 부분이 있으니 이 부분이 씨앗껍질이다. 씨앗은 이 씨앗껍질의 안쪽에 있으며, 과육은 씨앗을 감싸고 있는 씨방(자방,子房)이 부풀어서 만들어진 것이다.
속씨식물의 꽃에는 꽃받침·꽃잎·씨방이 있고, 암술과 수술이 꽃 안에 들어 있다.
무궁화·봉숭아·장미·해바라기·복숭아·옥수수 등이 바로 속씨식물이다.
겉씨식물은 꽃받침과 꽃잎이 없으며 향기와 꿀도 없고,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며 수정은 주로 바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잣나무·전나무·소나무·은행나무 등이 겉씨식물이다.
소나무는 대표적인 겉씨식물로, 갑옷비늘처럼 생긴 솔방울의 껍질안쪽에 날개가 달린 씨가 있는데 이 씨는 씨앗껍질에 싸여있지 않으므로 겉씨식물이라고 한다.
수분(受粉) 수정(受精)
속씨식물이라고 하면 열매 속에 씨가 들어있는 식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가 않고, 밑씨(*)가 씨방의 심피(心皮*)속에 들어(싸여)있다는 뜻이다.
*.밑씨란 씨방(房) 속에 생기는, 수정이 일어나기 전의 암생식기관으로 뒤에 씨가 되는 기관이며,
배낭(胚囊)·주심(珠心)·주피(珠皮)로 구성된다.
*.심피란 씨방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속씨식물에서는 밑씨가 심피 속에 들어있고
겉씨식물에서는 밑씨가 심피 위에 노출되어 있다.
꽃가루에서 나온 정핵과 밑씨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면 접합자(接合子)가 되고 이 접합자가 발달하여 비로소 씨가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정핵은 정자, 밑씨는 난자, 접합자는 수정란, 씨는 배아(태아)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처럼 수정이 일어나면 접합자가 발달하여 씨가 될 뿐 아니라 꽃의 일부분이 발달하여 열매가 된다.
●자웅동주(雌雄同株, 암수한그루)
양성화, 단성화 모두 핀다. 한 나무에서 암 수꽃이 모두 피는 식물을 말하는데 이때 단성화로 피기도하고 양성화로 피기도 한다.
▲단성화(單性花): 한꽃에 수술 또는 암술만 갖춘 자웅이화(雌雄異花, 암수딴꽃)로 소나무·밤나무·뽕나무·은행나무·호박·오이·수세미·박 등이 이에 속한다.
▲양성화(陽性化): 한꽃에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자웅동화(雌雄同花, 암수한꽃)로 대부분의 종자식물 꽃들이 양성화로 핀다.
●자웅이주(雌雄異株, 암수딴그루)
단성화만 핀다. 암 수꽃이 별도의 나무에서 피는 식물로 은행나무·삼나무·뽕나무 등이 있다. 옥수수는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별도로 나뉘어 피는 자웅이화(雌雄異花, 암수딴꽃)다.
옥수수는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별도로 나뉘어 피는 자웅이화(雌雄異花, 암수딴꽃)다. 수꽃의 꽃가루가 바람에 날려 옥수수의 흔히 옥수수수염이라고 말하는 암술에 수분이 된다. 옥수수를 깠을 때 간혹 이빨 빠진 것처럼 된 부분은 수정이 되지 않은 탓이다.
벌과 나비 같은 곤충의 매개로 인한 수분은 극히 일부분으로 보면 된다.
토마토는 자웅동주(雌雄同株,암수한그루) 자웅동화(雌雄同花, 암수한꽃)의 양성화(陽性化)다.
'야생화 . 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쑥부쟁이. 개미취. 구절초. 해국의 구별 (0) | 2019.10.15 |
---|---|
미선(美扇)나무. (0) | 2019.03.28 |
거미줄바위솔 (0) | 2018.06.20 |
야생(초목)화! 너의 이름은? (0) | 2018.06.06 |
「내포야생화농원」의 겨울야생화 (0) | 2018.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