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본기 “149년 동방에 모여”… 전문가 “200∼300년에 한번 일어나”
151년 8월 10일 새벽 동쪽 하늘에 수성, 토성, 화성, 금성, 목성(왼쪽부터 차례대로) 등
다섯 행성이 모여 있는 상상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제공
“우리 고대사에는 천문 기록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오성(五星)결집’에 관심이 갔죠. 삼국사기를 살피다가 고구려 때 오성 기록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오성결집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5개 행성이 하늘의 일정한 영역에 한데 모이는 현상을 일컫는다. 황보승 대구운암고 교사(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원)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서 ‘차대왕 4년(149년) 5월에 오성이 동방에 모였다’는 기록을 찾아낸 뒤 올해 초 천문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황보 교사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당시 천문 현상을 추적해 보니 151년 8월 10일 새벽 동쪽 하늘에서 오성이 30도 이내에 모였음을 확인했다”면서 “고구려본기의 기록은 이를 관측하고 적은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은 “2,000년 정도 전의 기록임을 감안할 때 1, 2년의 오차가 생길 수 있다”며 “오성결집 현상은 200∼300년에 한 번씩 드물게 일어나는 현상인 만큼 기록의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오성결집은 고조선 때 한 차례 기록된 바 있다. 환단고기(桓檀古記)에는 ‘무진오십년오성취루(戊辰五十年五星聚婁)’라는 구절이 나온다. 천문학자인 고(故) 라대일 박사와 박창범 고등과학원 교수는 이 구절을 기원전 1,734년 7월 중순 저녁 서쪽 하늘에 화성, 수성, 토성, 목성, 금성이 순서대로 늘어선 것으로 해석해 1,993년 한국천문학회지에 발표했다. 특히 이 기록은 5개 행성이 ‘루’라는 별자리(현재 양자리)에 모였다는 뜻으로 ‘오성취루’라고 불린다.
박 위원은 “이번에 발견된 다섯 행성은 지금의 게자리에 해당하는 ‘귀(鬼)’에 위치한 만큼 ‘오성취귀’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7대 次大王 4년>
四年 夏四月丁卯晦 日有食之 (4년 하4월정묘회 일유식지)
五月 五星聚於東方 日子畏王之怒 誣告曰 是君之德也 國之福也 王喜 冬十二月 無氷
(5 월 5 성취어 동방 일자외왕지노 무고왈 시군지덕야 국지복지 왕희 동 12 월 무빙)
[고구려 7대 次大王4년(149년) 4월 晦日(회일, 그믐날) 丁卯(정묘)에 일식이 있었다.
5월에 五星이 동방에 모이매, 日子(日官 즉 天文을 맡은 자)는 왕의 怒(노)를 두려워하여 거짓 고하되, 이는 임금의 덕이요, 나라의 복이라고 하니, 왕이 기뻐하였다. 12월에 물이 얼지 아니하였다. 五星은 즉 歲星(세성, 木星) 熒星(형성, 火星) 太白(태백, 金星) 辰星(진성, 水星) 鎭星(진성, 土星)을 가르킨다.] <이병도 역주>
桓檀古記(환단고기) 13세 단군 흘달(혹은 대음달)
戊辰五十年 五星聚婁黃鶴來摟苑松(무진50년 5성취루 황학래루원송)
[戊辰(무진) 50년(BC1,733년) 五星이 모여들고 누런 학이 날아와 뜰의 소나무에 깃들었다.
聚婁(취루)라 하였으니, 별이 모여드는 것을 말함. 규취라고도 함. 길조로 여김. <임승국 번역·주해>
'역사.유적.유물.지리.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곡리선사유적지와 야생화 (0) | 2015.05.26 |
---|---|
다시 연천 은대리성(漣川 隱垈里城)을 찾다. (0) | 2015.05.13 |
호로고루성. 괘암 (0) | 2015.04.20 |
北 황강댐서 강물 44% 써버려… “논밭까지 짠물 올라와” (0) | 2015.04.15 |
美서 돌아온 ‘덕종어보’… 덕종 기리려 만든 거북모양 왕실도장 (0) | 201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