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4장>
其安易持 其未兆易謀 其脆易泮 其微易散 爲之於未有 治之於未亂
기안이지 기미조이모 기취이반 기미이산 위지어미유 치지어미란
合抱之木 生於毫末 九層之臺 起於累土 天里之行 始於足下 爲者敗之 執者失之
합포지목 생어호말 구층지대 기어누토 천리지행 시어족하 위자패지 집자실지
是以聖人 無爲故無敗 無執故無失 民之從事 常於幾成而敗之 愼終如始 則無敗事
시이성인 무위고무패 무집고무실 민지종사 상어기성이패지 신종여시 즉무패사
是以聖人 欲不欲 不貴難得之貨 學不學 復衆人之所過 以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
시이성인 욕불욕 불귀난득지화 학불학 복중인지소과 이보만물지자연 이불감위
其安易持 其未兆易謀 其脆易泮 其微易散 爲之於未有 治之於未亂
기안이지 기미조이모 기취이반 기미이산 위지어미유 치지어미란
脆: 軟하다(재질이 무르고 부드럽다), 가볍다, 무르다, 부드럽다
泮: 물가, (얼음이)녹다, (얼음이)풀리다
[관련] <9장>持而盈之. <20장>我獨泊兮其未兆.
[풀이] 편안할 때 지키기 쉽고, 조짐이 보이지 않을 때 일을 도모하기 쉬우며, 부드러운 것은 쉽게 녹고, 작은 것은 쉽게 흩어진다. 일은 있기(벌어지기) 전에 대비하고, 어지러워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合抱之木 生於毫末 九層之臺 起於累土 天里之行 始於足下 爲者敗之 執者失之
합포지목 생어호말 구층지대 기어누토 천리지행 시어족하 위자패지 집자실지
毫: 터럭, 털, 가는 털, 잔 털, 붓, 붓 끝, 호(척도, 분량의 단위), 조금, 가늘다
爲者敗之: 自然을 거역하여 私意를 끼우면 필패함을 이르는 말
[관련] <20장>如春登臺. <제29장>爲者敗之 執者失之. <23장> 故從事於道者.
[풀이] 아름드리나무도 털끝만한 싹에서 자라나고, 구층 누대도 터다지기에서 시작되며, 천리 길도 발아래 (한걸음)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억지로 일을 도모하는 者 그로인해 무너지고, 틀어쥐는 者 그로 인해 잃는다.
是以聖人 無爲故無敗 無執故無失 民之從事 常於幾成而敗之 愼終如始 則無敗事
시이성인 무위고무패 무집고무실 민지종사 상어기성이패지 신종여시 즉무패사
幾: 몇, 얼마, 그, 거의, 어찌, 자주, 조용히, 공손하게, 바라건대, 가, 언저리, 조짐, 고동(기계 장치),
때, 기회, 위태롭다, 가까워지다, 자세히 살펴보다, 시작하다, 다하다, 끝나다
[풀이] 이로써 성인은 無爲하므로 실패가 없고, 집착이 없으므로 잃음도 없다. 사람들이 일을 함에 있어 늘 일이 거의 완성될 즈음에 망치게 된다. 처음처럼 마무리를 신중히 한다면 일을 망치지 않을 것이다.
是以聖人 欲不欲 不貴難得之貨 學不學 復衆人之所過 以輔萬物之自然 而不敢爲
시이성인 욕불욕 불귀난득지화 학불학 복중인지소과 이보만물지자연 이불감위
不欲: 世俗的인 欲望을 가지지 않음.
不學: 배우지 못함, 學文이 없음. 世俗的인 識者와 같이 知識爲主의 學問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敢: 감히, 구태여, 함부로, 감행하다, 굳세다, 용맹스럽다, 결단성 있다, 감히 하지 아니하랴
[관련] <3장>不貴難得之貨. 輔萬物之自然: <25장>道法自然.
而敢不爲: <47장>是以聖人 不行而知 不見而名 不爲而成.
[풀이] 이로써 성인은 無慾으로 하고자 하며, 얻기 어려운 財貨를 귀히 여기지 않고, 학문이 없음을 배우며, 뭇 사람들이 지나쳐 버리는 것을 돌이켜, 만물의 자연스러움을 돕고, 함부로 행하지 않는다.
[정리]
편안할 때 지키기 쉽고, 조짐이 보이지 않을 때 일을 도모하기 쉬우며, 부드러운 것은 쉽게 녹고, 작은 것은 쉽게 흩어진다. 일은 있기(벌어지기) 전에 대비하고, 어지러워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아름드리나무도 털끝만한 싹에서 자라나고, 구층 누대도 터다지기에서 시작되며, 천리 길도 발아래 (한걸음)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억지로 일을 도모하는 者 그로인해 무너지고, 틀어쥐는 者 그로 인해 잃는다.
이로써 성인은 無爲하므로 실패가 없고, 집착이 없으므로 잃음도 없다. 사람들이 일을 함에 있어 늘 일이 거의 완성될 즈음에 망치게 된다. 처음처럼 마무리를 처음처럼 신중히 한다면 일을 망치지 않을 것이다.
이로써 성인은 일을 無慾으로 하고자 하며, 얻기 어려운 財貨를 귀히 여기지 않고, 世俗的인 知識爲主의 學問을 하지 않는 것을 배우며, 뭇 사람들이 지나쳐 버리는 것을 돌이켜, 만물의 자연스러움을 돕고, 함부로 행하지 않는다.
'인문학에 길을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66장> 江海所以能爲百谷王者... (0) | 2012.05.16 |
---|---|
<도덕경 제65장> 古之善爲道者 非以明民... (0) | 2012.05.16 |
<도덕경 제63장>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0) | 2012.05.15 |
<도덕경 제62장> 道者 萬物之奧... (0) | 2012.05.14 |
<도덕경 제61장>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0) | 2012.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