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달 스무엿새 - 하현달 - 아침노을 - 오전07:30
날이 좋으면 어김없이 아침09:30분∼ 10:30분까지 한 시간 남짓 걷는다.
만보가 아니라도 좋다. 거리측정을 못했는데 4,500보 정도 된다.
목화(木花)다래에서 솜털이 피어나듯,
바싹 마른 쑥대에서 간간이 하얀 솜털이 발견된다.
떼어서 만져보니 촉감이 꼭 목화솜처럼 보드랍다.
‘목화솜’은 목화의 다래 곧 삭과(蒴果)의 겉껍질세포가 흰색 털 모양의 섬유로 변한 것이다.
삭과(蒴果)란? 열과(裂果)의 하나로,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고 각 칸에 많은 씨가 든 열매를 말하는데
심피(心皮)의 등이나 심피 사이가 터져 씨가 나온다.
쑥대에서 피어난 하얀 솜털...
나는 이것이 ‘쑥솜’ 아닐까 생각했다.
이러한 ‘쑥솜’은 쑥 잎이 파랗게 무성할 때도 발견된다.
도대체 이것이 어떻게 생겨난 걸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이것은 ‘쑥솜’이 아니라 『극동쑥흑파리 벌레집』이란다.
목화솜처럼 보이는 혹 안에 파리들이 산다고...
소싯적 나는 할아버지들이 이것을 부싯깃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며 자랐고,
어린 우리들은 저수지에서 이것을 뭉쳐 귀를 막고 미역을 감던 기억이 생생하다.
부싯깃이란? 부시를 칠 때 불똥이 박혀서 불이 붙는 물건을 말한다.
진짜 ‘쑥솜’이란?
마른 쑥 잎을 손바닥으로 비벼서 잎 가루를 날리고
남는 섬유질이 하얀 솜처럼 뭉쳐지는데 이것이 쑥솜이다.
실제로는 벌레집에서 나오는 솜털채취량이 너무 적은 관계로
쑥 잎에서 추출한 ‘쑥솜’을 주로 사용했던 것이 사실이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창경궁의 봄 (0) | 2022.04.13 |
---|---|
체증이 뚫리다. 상수도관 자연통수(通水) (0) | 2022.03.13 |
흰 눈이 내릴 때 미사가 들려오면.... (0) | 2021.12.25 |
서해복선전철 (0) | 2021.12.22 |
눈 내리는 밤, 한 해의 마지막 보름달.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