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제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天下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천하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시이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夫唯不居 是以不去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불시 공성이불거 부유불거 시이불거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天下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천하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皆: 모두, 다, 함께, 두루미치다.
爲: 하다, 만든다는 말로 人爲(사람의 힘으로 만드는 일)와 같은 말이다. 따라서 爲의 반대개념은 自然, 天爲(하늘이 하는바, 하늘의 작용), 無爲( 자연 그대로 두어 인위를 가하지 않음)가 된다.
作爲는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 그렇게 보이려고 의식적으로 취하는 행위와 동작이니 반대개념은 不作爲가 된다.
斯: 이, 사물을 이르는 대명사, 어조사, 즉(則 곧 즉, 법 칙)의 뜻.
惡: 악하다, 추하다. 착하지 않음, 올바르지 않음.
세상 사람이 아름답다고 알고 있는 아름다움이 인위적으로 꾸며진 것이라면 이것은 올바르지 않은 일이며, 세상 사람이 善하다고 알고 있는 善이 꾸며진 일이라면 그것도 올바르지 않은 일이다.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故: 옛, 옛날의, 본래, 원래
相生: 五行說에서, 金에서 물(水)이 나오고, 물에서 나무(木)이 나오듯, 서로 선 순환한다는 의미다,
較: 견주다, 비교하다, 드러내다.
傾: 기울다.
고로 有와 無는 相生하고, 어려움과 쉬움이 서로 이루어지며, 짧음과 길음은 서로 비교되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기울며, 노래와 말소리는 서로 어울리고, 앞과 뒤는 서로 따른다.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시이성인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是以: 이런 까닭에
그러하므로 道를 體得한 聖人은 모든 일을 無爲로 즉 천하의 이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처리하고, 말보다는 행동으로 실천하며 가르침을 행한다.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夫唯不居 是以不去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불시 공성이불거 부유불거 시이불거
作(작): 짓다, 일어나다, 일으키다.
焉(언): 어찌, 이에, 이, 여기
辭(사): 말하다, 하소연하다.
恃(시): 믿다, 의지하다, 의뢰하다, 자부하다
夫: 지아비, 남편, 사내, 저, 3인칭 대명사, 대저(大抵: 대체로 보아서) 발어사, ~도다, ~구나(감탄사)
唯: 오직 아닐 불/말 불弓(활궁, 3획)
弗: 아니다, 어긋나다
去: 가다, 버리다, 돌보지 아니하다, 거두어들이다
자연은 만물을 生成했다고 스스로 자랑스럽게 말하지 않고, 무엇을 만들어 냈다(生産)고 소유하려 들지 않으며, 어떤 일을 하되 그 일에 기대지 않고, 공을 이루어도 그 공에 머무르지 않는다. 大抵 성인은 공을 세워도 오직 그 일에 머물지 아니하며, 이런 까닭에 그 成果物도 거두어들이지 않는 것이다.
[정리] 2章에서는 道의 作用 곧 無爲自然에 대해 말한다.
세상 사람이 아름답다고 알고 있는 아름다움이 인위적으로 꾸며진 것이라면 이것은 올바르지 않은 일이며, 세상 사람이 善하다고 알고 있는 善이 꾸며진 일이라면 그것도 올바르지 않은 일이다.
고로 有와 無는 相生하고, 어려움과 쉬움이 서로 이루어지며, 짧음과 길음은 서로 비교되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기울며, 노래와 말소리는 서로 어울리고, 앞과 뒤는 서로 따른다.
이글에서는 있는 것(有)이 없는 것보다, 쉬움이 어려움보다, 긴 것이 짧은 것보다, 높은 것이 낮은 것보다, 음악이 소리보다’더 좋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대립적으로 생각하는 개념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순환하고 자연스럽게 공존한다는 천하의 이치를 말하고 있다.
그러하므로 道를 體得한 聖人은 모든 일을 無爲로 즉 천하의 이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처리하고, 말보다는 행동으로 실천하며 가르침을 행한다.
자연은 만물을 生成했다고 스스로 자랑스럽게 말하지 않고, (사과나무에 열매를 만들었지만 그 열매를 소유하지 않듯)무엇을 만들어 냈다(生産)고 소유하려 들지 않으며, 어떤 일을 하되 그 일에 기대지 않고, 공을 이루어도 그 공에 머무르지 않는다. 大抵 성인은 공을 세워도 오직 그 일에 머물지 아니하며, 이런 까닭에 그 成果物도 거두어들이지 않는 것이다.
'인문학에 길을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0) | 2012.04.26 |
---|---|
<도덕경 제3장> 不尙賢 使民不爭 ... (0) | 2012.04.25 |
<도덕경 제1장> 道可道 非常道... (0) | 2012.04.19 |
<도덕경 제29장> 將欲取天下而爲之.. (0) | 2012.04.10 |
<도덕경> 주석(注釋) (0) | 201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