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
도충이용지혹불영 연혜사만물지종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湛兮似或存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담혜사혹존 오부지수지자 상제지선
道沖而用之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
도충이용지혹불영 연혜사만물지종
沖: 和하다, 비다, 空虛, 깊다, 深遠하다, 꺼리다, 相衝되다, 부딪치다. 여기서는 沖을 天地之間 즉 우주공간의 모습을 말하는 것이니, 그저 텅 빈 것이 아니라 ‘비다와 深遠하다’를 아우르는 뜻이고, 或은 ‘혹은’ 이 아니라 있다, 존재하다고 읽어야 한다.
用: 쓰다, 부리다, 하다, 行하다, 作用, 능력, 그릇, 道具), 써(=以)
盈: 차다, 가득하다, 채우다, 미치다, 이루다, 常과 같다[河上公 注]
或: 혹, 혹은, 또, 어떤 경우에는, 있다, 존재하다
淵: 일의 근원(根源), 근본(根本) 못, 깊다, 조용하다.
宗: 근원(根源), 근본(根本),
兮: 語調. 音調를 돕는 조사, 句의 중간이나 끝에 둔다. 詩賦에서 많이 쓰임
乎: 어조사, 인가, 로다, 구나, ~에, ~보다, 부사형 語尾이다.
似: 같다, 닮다, 잇다, ~과 같은 것, 같다는 식으로 단정을 피하는 말이다.
짧지만 제각기 해석이 분분한 구절이다.
-.도는 텅 비어있다. 그러나 아무리 퍼내 써도 고갈되지 않는다.
-.도는 텅 빈 것이어서 쓰려고 하면 잡히지 않아 소용이 없다.
-.도는 그릇처럼 비어 쓰임에 차고 넘치는 일이 없습니다.
-.아아! 도(道)여! 그 맑고 허(虛)함을 쓰되 채우지 못하는구나.
왜 이렇게 헷갈려할까? 도를 우주와 만유일체의 근원으로 생각하지 않고, 善이나 仁義 등의 德目을 실천하는 것이 道라는 유교적관점이나, 불교에서 행하는 근원적인 실천수행의 방편으로서의 道를 떠올리기 때문인 듯하다.
<1장>에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라 했다. 이름 없이 天地가 시작되었으나, 道라는 이름을 붙이고 보니 天地(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우주. 대자연)는 만물의 母胎(사물의 발생 · 발전의 근거가 되는 토대)다" 는 말이다. 도는 곧 天地요 우주이며 대자연인 것이다.
<45장>에 天地를 大成若缺其用不弊 大盈若沖其用不窮이라 했다.
완전히 이루어진 것은 모자란듯하지만 쓰임에는 폐단이 없다. 꽉 찬 것은 텅 비어 있는듯하지만 쓰임에 끝이 없다. 즉 무궁하다는 말이다.
<5장>에 天地之間 其猶槖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이라 했다. 우주의 모습을 풀무에 비유한 것이다. 天地는 풀무와 같구나. 풀무는 텅 비고 쭈그러들지 않았지만, 풀무질을 하면 소리를 내며 세차게 바람을 품어 낸다고 했다. 풀무를 생각해 보자. 속이 텅 비어 있지만, 달리 보면 공기가 꽉 들어차 있지 않은가? 이것이 바로 우주의 모습으로 大盈若沖인 것이다.
大盈若沖(대영약충)이란 꽉 찬 것은 결국 텅 빈 것과 같다는 말이다. 풀무는 속이 비어있다. 그러나 비어있다는 것은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공기로 가득 차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허공으로 보는 우주공간도 그저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섭리에 따라 작용할 수 있는 氣가 充滿해 있음을 말한다.
그러면 어떻게 풀어야 할까?
우리가 모두 잘 알고 있는 論語 첫 편, 첫 문장은 이렇게 시작된다.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oo而 ∼□□之, ∇∇∇∇와 같은 구조로
oo하고 □□하니, ∇∇∇∇하다라고 풀어
배우고 익히니,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말이 된다.
따라서 이 문장도 논어와 똑 같은 구조이니 代入을 해보자.
道 沖而用之 或不盈과 같이 떼어 쓰면, 道는 沖하고 用하니 或不盈이라는 말이 되는 것이다.
[풀이]道(천지)는 텅 비어 深遠하고. 자연의 섭리에 따라 작용(활동)하나, 상자 속의 짐짝처럼 늘 꽉 채워진 것은 아니다. 깊도다! 도는 세상만물의 근원으로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挫(좌): 꺾다, 부러지다, 묶다, 문지르다, 주무르다
紛(분): 어지럽다, 번잡하다, 엉클어지다, 섞다, 섞이다, 분규, 다툼
和其光 同其塵: 和光同塵으로 잘 알려져 있다. [王弼]注, [河上公]注에 다 같이 “빛을 엷게 하고 티끌 속에 숨는다.” 는 뜻으로 해석 했다. 즉 和나 同은 눈에 띄지 않게 같이 하나가 된다는 뜻이다. 和에는‘합치다’라는 뜻이 있다. 유명한‘和光同塵’의 出處이다. <운창>
[풀이]날카로운 것을 무디게 하고, 얽힌 것을 풀어주고, 빛을 온화하게 하니 도는 마치 티끌과 같구나. 이 風塵세상을 만났으니...이렇게 시작되는 노래가 있다. 여기서 風塵이란 바람에 날리는 티끌을 뜻하는데 천지간 우주공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바람과 먼지의 작용이 아니던가. 단단한 바위도 풍화작용으로 먼지가 되고, 때로는 먼지가 쌓여 태산이 되는 것이 것이니 道(천지, 우주)는 이렇게 먼지처럼 만물을 조화롭게 순환시키는 역할을 말하는 것이다.
湛兮似或存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담혜사혹존 오부지수지자 상제지선
湛(담): 괴다, 즐기다, 더디다, 잠기다(沈), 깊게(침), 맑다(잠) 깊다(잠)
誰(수): 누구, 무엇, 옛날, 발어사, 묻다
象(상): 코끼리, 꼴, 모양, 형상, 法, 도리, 점괘(占卦), 천상(天象:천체가 변화하는 여러 현상), 본받다, 따르다.
象을 似와 같은 뜻으로 보아 形象, 생긴 꼴. 그 생긴 꼴을 이룬다는 뜻이라 풀기도 한다. 帝는 [王弼]注 , [河上公]注 모두‘天帝, 上帝’라고 했다.<운창>
象帝: 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곧 하느님인지, 중국 고대 전설상의 三皇五帝 중 첫 번째로 꼽히며 팔괘를 처음으로 만들었다는 福犧氏를 지칭하는지 알 수 없는데 너무 천착할 필요는 없다.
[풀이] 맑고 고요하게 늘 존재하는데, 언제 무엇으로 부터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느 神이나 天帝, 上帝보다도 앞선다.
[정리] 4장은 道를 觀하며 그 作用을 말한다.
道(천지)는 텅 비어 深遠하고. 자연의 질서로 작용하는데 그렇다고 늘 꽉 채워진 것은 아니다. 깊도다! 도는 세상만물의 근원으로 날카로운 것을 무디게 하고, 얽힌 것을 풀어주고, 빛을 온화하게 하니 마치 風塵의 작용과 같구나. 맑고 고요하게 늘 존재하는데, 언제 무엇으로 부터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느 神이나 天帝, 上帝보다도 앞선다.
'인문학에 길을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6장> 谷神不死 是謂玄牝.. (0) | 2012.04.26 |
---|---|
<도덕경 제5장> 天地는 不仁하여.... (0) | 2012.04.26 |
<도덕경 제3장> 不尙賢 使民不爭 ... (0) | 2012.04.25 |
<도덕경 제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0) | 2012.04.24 |
<도덕경 제1장> 道可道 非常道... (0) | 201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