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유적.유물.지리.지질

부여 관북리백제유적

백수.白水 2018. 11. 23. 10:12

2018.11.17(토)

 

관북리유적

(백제세계유산센터 자료)

 

 

스라이드 사진보기http://info.baekje-heritage.or.kr/html/info/view.html?ntt_no=50&code=00020001

 

이곳은 백제의 왕궁터로 추정되는 곳으로 부소산성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1982~83년 발굴조사 때 백제시대의 연못이 발견되었고, 1992년 발굴조사 때 건물터, 하수도, 도로 유적 등이 발견되어 이 일대가 왕궁이었을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연못은 동서가 긴 사각형으로 할석을 이용하여 정교하게 쌓았다.

연못 내부에서 많은 연꼭무늬수막새·토기·금동제귀걸이·나무판에 글씨를 쓴 목간(木簡등잔·철창·철촉·대바구니·목제품 등 백제 유물이 출토되었다.

 

목간은 백제의 것으로는 처음 발견된 것이며, 당나라 동전인 개원통보(開元通寶)가 발견되어 연못의 축조연대에 참고가 되고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관아가 자리 잡고 있었다.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에 대해서는 1980년부터 본격적인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되었다.

30년이 넘는 장기간의 계획적인 고고학적 조사 결과 백제의 왕성구조에 대한 해명이 대부분 이루어졌다.

 

 

이 일대를 왕성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첫째> 왕궁의 시설물로 볼 수 있는 면적 650규모의 대형 건물지가 발견되었다.

이 건물과 남북방향으로 일직선 위에 위치한 부소산 중턱의 한 절터에서 출토된 금동제 허리띠는 엄격한 신분제 사회에서 왕만이 소유할 수 있는 물품이므로 이 일대가 왕의 생활공간이었음을 말해준다.

 

 

둘째> 가장 위계가 높은 관청에 사용된 수부(首府)기와, 대형 석조, 당나라 장군 유인원의 행적을 기념한 비가 모두 이 일대에서 발견된 점도 이곳이 왕궁이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셋째> 백제가 멸망한 이후 신라는 이곳에 지방을 통치하는 중요 관청을 건립한다.

이때 백제시대 건물의 하부구조가 새로운 관청 건축에 재활용되었다.

이 점도 이곳이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근거가 된다.

 

왕궁의 배후 산성인 부소산성의 남쪽으로는 대규모 건물이 들어서기에 평탄한 지형이 넓게 펼쳐져 있다.

사비에서 이곳이 왕궁이 입지하기에 가장 좋은 지형이다.

    

대형 건물지 (동서 35m × 남북 18.5m)

대형 건물지는 규모와 구조를 볼 때 왕궁 내에 배치된 건물 중 가장 중요한 전각 건물이다.

거의 같은 규모와 구조의 건물이 익산 왕궁리유적에서도 발견되었다.

건물의 기단은 위와 아래 2단으로 조성되었고, 현재 남아 있는 높이는 50cm 정도이다.

기단의 북서쪽 모서리에 한 변 길이 77cm의 방형 주춧돌 하나가 남아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주춧돌은 사라졌지만 기둥과 주춧돌을 받히던 하부의 흙다짐기초가 총 36개 발견되었다.

 

 

상수도시설

물을 담을 수 있는 4m 크기의 대형 목곽수조 2곳이 발견되었다.

수조에서 불순물을 여과한 후 40m 정도 길이로 연결된 수도관을 통해 필요한 만큼 물이 흘러가게 된다.

목곽 수조의 기능은 물을 모으는 기능과 여과하는 기능 두 가지이다.

수도관은 수키와 2매를 원통형으로 맞대어 연결시켰다.

 

저장시설

저장시설은 목곽고 5, 석실고 3, 구덩이 등이 확인되었다.

저장시설 내부에서는 다양한 식물유체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 종류는 참외, 다래, 복숭아, 살구, 수세미, 오이 등인데 엄청나게 많은 양의 참외씨앗이 발견되었다.

저장시설은 대부분 식물성 음식물을 보관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하였다.

1호 목곽고의 경우 약 8규모의 장방형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각목과 판목으로 목곽을 짜 맞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못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연못이 발견되었다.

그 규모는 동서 10.6m, 남북 6.2m이며 평면은 장방형이다.

1~1.2m 정도 깊이로 땅을 파내고 가공된 석재를 5~6단 쌓아서 만들었다.

연못의 북쪽으로는 기와를 이용하여 만든 수로가 발견되었다.

이 수로는 연못에 물을 넣는 입수시설로 추정된다.

연못 내부에서는 연꽃잎과 줄기가 발견되어 연지(蓮池)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백제시대의 기와, 토기, 목간, 짚신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관북리 일대의 기타 유구  

이밖에도 관북리유적에는 백제시대의 건물지, 도로, 석축, 공방시설 등의 유구가 존재한다.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볼 수 있다.

 

 

 

 

 

 

 

 

 

 

 

 

대형전각 건물지

 

 

 

 

 

 

 

 

 

 

 

 

 

 

 

                               

'역사.유적.유물.지리.지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나성(扶餘羅城)  (0) 2018.11.25
부여 정림사지(定林寺址)  (0) 2018.11.24
부여 부소산과 부소산성(扶蘇山城)  (0) 2018.11.23
낙화암과 고란사  (0) 2018.11.22
부여 백제문화단지  (0) 2018.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