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 꽃 186

야생화 도감(사...)

사상자/ 미나리과/ 두해살이풀 사위질빵/ 미나리아재비과/ 낙엽성 덩굴식물 산괭이눈/ 범의귀과(*바위취)/ 여러해살이풀 산괴불주머니/ 현호색과/ 두해살이풀 산꼬리풀/ 현삼과/ 여러해살이풀 산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산당화(명자나무)/ 장미과/ 낙엽관목 산도라지/ 초롱꽃과/ 여러해살이풀 산딸기/ 장미과/ 낙엽관목 산딸나무/ 층층나무과/ 낙엽소교목 산머루/ 포도과/ 덩굴식물 산박하/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산벚나무/ 장미과/ 낙엽교목 산부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산사나무/ 장미과/ 낙엽활엽 소교목 산수국/ 범의귀과(*바위취)/ 낙엽관목 산수유나무/ 층층나무과/ 낙엽교목 산씀바귀(산고들빼기)/ 국화과/ 한,두해살이풀 산조풀/ 화본과/ 여러해살이풀 산초나무/ 운향과(芸香)/ 낙엽관목 산파/ 백합과/..

야생화 도감(바...)

박주가리/ 박주가리과/ 여러해살이풀 밤나무/ 참나무과/ 낙엽교목 방동사니/ 사초과/ 한해살이풀 방울비짜루/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배나무/ 장미과/ 낙엽교,관목 배롱나무/ 부처꽃과/ 낙엽소교목 배초향(방아초)/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백당나무/인동과/ 낙엽관목 백선(白鮮, 봉삼)/운향과(芸香)/ 여러해살이풀 백일홍/국화과/ 한해살이풀 백작약/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백합/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뱀딸기/장미과/ 여러해살이풀 버들개지/버드나무과/ 낙엽활엽 관목 버찌/장미과/ 열매 벌개덩굴/꿀풀과/ 여러해살이풀 벌개미취/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벌노랑이/콩과/ 여러해살이풀 범부채/ 붓꽃과/ 여러해살이풀 벚나무/ 장미과/ 낙엽교목 벼/ 화본과/ 한해살이풀 벼룩나물(벌금자리)/ 석죽과/ 두해살이풀 병꽃나무/ 인동과/ ..

야생화 도감(마...)

마타리/ 마타리과/ 여러해살이풀 말발도리/ 범위귀과/ 낙엽관목 매듭풀/ 콩과/ 한해살이풀 매발톱/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매자나무/ 매자나무과/ 낙엽관 맥문동/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맨드라미/ 비름과/ 한해살이풀 메꽃/ 메꽃과/ 여러해살이덩굴식물 메리골드(천일화.천,만수국)/ 국화과/ 한해살이풀 메밀/ 마디풀과/ 한해살이풀 며느리밑씻개/ 마디풀과/ 한해살이덩굴식물 며느리배꼽/ 마디풀과/ 한해살이 덩굴식물 멸가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명아주/ 명아주과/ 한해살이풀 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과/ 낙엽소교목 모과나무/ 장미과/ 낙엽교목 모나르다(베르가못)/ 현삼과/ 내한성여러해살이풀 모란(목단)/ 미나리아재비과/ 낙엽관목 모시대/ 초롱꽃과/ 여러해살이풀 모시풀/ 쐐기풀과/ 여러해살이풀 목련/ 목련과/ 낙엽..

야생화도감(다...라...)

다닥냉이/ 십자화과/ 두해살이풀 다알리아/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단풍잎유홍초/ 메꽃과/ 덩굴성 한해살이풀 단호박/ 박과/ 한해살이 덩굴식물 달래/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달맞이꽃/ 바늘꽃과/ 두해살이풀 닭의장풀(-밑씻개. 달개비)/ 닭의장풀과/ 한해살이풀 담쟁이/ 포도과/ 낙엽활엽 덩굴식물 대추나무/ 갈매나무과/ 낙엽활엽 교목 대파/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댑싸리/ 명아주과/ 한해살이풀 댕댕이덩굴/ 방기과/ 낙엽활엽덩굴식물 더덕/ 초롱꽃과/ 여러해살이덩굴식물 덩굴강남콩(돔부)/ 콩과/ 한해살이 덩굴식물 덩굴꽃마리 꿀풀목지치과 여러해살이풀 덩굴별꽃/ 석죽과/ 여러해살이풀 도꼬마리/ 국화과/ 한해살이풀 도둑놈의지팡이/ 콩과/ 여러해살이풀 도라지/ 초롱꽃과/ 여러해살이풀 독말풀/ 가지과/ 한해살이풀 독활(땅두릅)..

야생화 도감(나...)

나도냉이/ 겨자과/ 두해살이풀 나도샤프란/ 수선화과/ 여러해살이풀 나도송이풀/ 현삼과/ 반기생한두해살이풀 나팔꽃/ 메꽃과/ 한해살이덩굴식물 남산제비꽃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남천/ 매자나무과/ 상록관목 낭아초/ 콩과/ 낙엽활엽 반관목 냉이/ 겨자과/ 두해살이풀 노랑꽃창포/ 붓꽃과/ 여러해살이풀 노랑물봉선/ 봉선화과/ 한해살이풀 노랑물칸나(엘로우스트리퍼)/ 홍초과/ 여러해살이풀 노랑붓꽃/ 붓꽃과/ 여러해살이풀 노랑제비꽃/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노랑코스모스/ 국화과/ 한해살이풀 노루오줌/ 범/ 여러해살이풀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과/ 낙엽활엽 관목,소교목 노박덩굴/ 노박덩굴과/ 낙엽활엽 덩굴나무 녹두/ 콩과/ 한해살이풀 누리장나무/ 마편초과/ 낙엽활엽관목 눈괴불주머니/ 현호색과/ 두해살이풀 능소화/ 능소화과/..

야생화 도감 <가...>

가는무늬억새 / 화본과/ 여러해살이풀 가는잎쐐기풀/ 쐐기풀과/ 여러해살이풀 가는잎쑥/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가는잎장구채/ 석죽과/ 한해살이풀 가막사리/ 국화과/ 한해살이풀 가시엉겅퀴/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가자니아(훈장국화 / 국화과/ 한해살이풀 각시붓꽃 붓꽃과 여러해살이풀 갈퀴나물/ 콩과/ 여러해살이풀 감자/ 가지과/ 여러해살이풀 강낭콩/ 콩과/ 한해살이풀 강아지풀/ 화본과 한해살이풀 개구리미나리/ 미나리아재비과/ 두해살이풀 개구리밥/ 개구리밥과/ 여러해살이풀 개나리/ 물푸레나무과/ 낙엽관목 개다래/ 다래나무과/ 낙엽성덩굴식물 개망초/ 국화과/ 두해살이풀 개머루(돌머루)/ 포도과/ 낙엽성덩굴식물 개모시풀/ 쐐기풀과/ 여러해살이풀 개미취/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개발나물/ 미나리과/ 여러해살이풀 개별꽃/ ..

함박꽃 · 목련 · 모란 · 작약 의 구별

우리 집 뜰에 작약이 함박웃음을 지으며 소담스럽게 피었다. 작약이나 모란을 볼 때마다 한 번씩 공부를 하고 넘어가지만 늘 그때뿐이고, 지나고 나면 매번 헷갈린다. 2016.4.24.일 내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통째로 복사해서 올린다. 우리집 뜰에 핀 작약 붉은색과 흰색 두 종류 ************************************************************************ 함박꽃 · 목련 · 모란 · 작약 비교(2016. 4. 24) 먼저, 호칭을 보면 이렇다. 화살표 방향이 그것인데.... 모란이고 작약이고 목련이고 간에 모두 함박꽃으로 불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함박꽃나무’는 고유한 나무이름이지만 그냥 함박꽃이라고 말할 때는 모란이나 작약처럼 푸짐하고 탐스럽게 핀 큰..

야생화 . 꽃 2020.05.23

미선(美扇)나무.

미선(美扇)나무 원산지는 한국으로 이름은 아름다운 부채라는 뜻의 미선(美扇) 또는 부채의 일종인 미선(尾扇)에서 유래한다. 열매의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아 미선나무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볕이 잘 드는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는 1m에 달하고,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어린 가지는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고 2줄로 배열하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의 달걀형이고 길이가 3∼8cm, 폭이 5∼30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2∼5mm이다. 미선나무의 종류는 흰색 꽃이 피는 것이 기본종이다. 분홍색 꽃이 피는 것을 분홍미선(for. lilacinum), 상아색 꽃이 피는 것을 상아미선(for. eburneum), 꽃받..

야생화 . 꽃 2019.03.28

옥수수! 수분(受粉)의 계절

속씨식물과 겉씨식물 꽃식물은 밑씨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나뉜다. 식물의 씨앗이 씨앗껍질(종피,種皮)에 싸여있으면 속씨식물, 그렇지 않으면 겉씨식물로 분류한다. 속씨식물인 딸기의 경우 겉에 깨알 같은 게 붙어있는데 씹어보면 톡톡 깨지는 부분이 있으니 이 부분이 씨앗껍질이다. 씨앗은 이 씨앗껍질의 안쪽에 있으며, 과육은 씨앗을 감싸고 있는 씨방(자방,子房)이 부풀어서 만들어진 것이다. 속씨식물의 꽃에는 꽃받침·꽃잎·씨방이 있고, 암술과 수술이 꽃 안에 들어 있다. 무궁화·봉숭아·장미·해바라기·복숭아·옥수수 등이 바로 속씨식물이다. 겉씨식물은 꽃받침과 꽃잎이 없으며 향기와 꿀도 없고,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며 수정은 주로 바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잣나무·전나무·소나무·은행나무 등이 ..

야생화 . 꽃 2018.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