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전원거(歸田園居) .... 시골에 돌아와 살며
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인생전체는 되는대로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도덕경 제38장> 上德不德 是以有德...

백수.白水 2012. 5. 2. 08:38

<제38장>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상덕부덕 시이유덕 하덕부실덕 시이무덕

 

上德無爲 而無以爲 下德爲之 而有以爲

상덕무위 이무이위 하덕위지 이유이위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고실도이후덕 실덕이후인 실인이후의 실의이후예

 

上仁爲之 而無以爲 上義爲之 而有以爲 上禮爲之 而莫之應 則攘臂而扔之

상인위지 이무이위 상의위지 이유이위 상례위지 이막지응 즉양비이잉지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 前識者 道之華 以愚之始

부예자 충신지박 이난지수 전식자 도지화 이우지시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상덕부덕 시이유덕 하덕부실덕 시이무덕

 

: 아니다, 아니하다, 못하다, 없다, 이르지 아니하다, 크다, 不通(과거에서 불합격 등급)(), 꽃자루()

 

[의 사전적 의미]

크다, (덕으로)여기다, (덕을)베풀다, 道德, 恩德, , 幸福, 恩惠, 善行행위, 節操(절개와 지조), 능력, 作用, 가르침, 어진 이, 현자(賢者)

 

공정하고 포용성 있는 마음이나 品性

도덕적인 理想 또는 法則에 좇아 확실히 意志를 결정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 의무적인 행위를 선택 실행하는 습관, 倫理學상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임

어떤 유리한 결과를 낳게 하는 원인 덕분 공덕(功德)

 

노자가 말하는 도덕적인 理想 또는 法則에 좇아 확실히 意志를 결정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으로 노자는 이를 上德이라 하며유교적인 倫理學상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의무적인 행위, . . . 를 선택 실행하는 습관을 강조하는데 노자는 이를 下德이라 이른다.

 

[참고] 는 길이오. 은 행위이다. 행위(함과 하지 않음이 다 포함됨)가 없으면 도는 드러나지 않고, 또한 도가 없으면 덕이 일어날 수 없다. 마치 理氣의 관계와 같다. <운창>

 

[풀이] 상위의 이란 을 의식하지 않고 행하는 것으로 이것이 이 있는 것이요, 下位이란 덕을 잃지 않으려고 얽매이는 것이니 이는 덕이 없는 것이다.

 

 

上德無爲 而無以爲 下德爲之 而有以爲

상덕무위 이무이위 하덕위지 이유이위

 

[풀이]상위의 은 인위적, 의식적으로 하는바 없이 無爲하나 下德은 행함을 의식적으로 즉 有爲로 한다.

 

 

上仁爲之 而無以爲 上義爲之 而有以爲 上禮爲之 而莫之應 則攘臂而扔之

상인위지 이무이위 상의위지 이유이위 상례위지 이막지응 즉양비이잉지

 

: 물리치다, 내쫓다, 없애다, 훔치다, 빼앗다, 어지럽히다, 사양하다, 걷어 올리다, 보내주다

: , 팔뚝, 쇠뇌(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는 큰 활)자루

: 당기다, 끌어당기다, 부수다, 깨뜨리다, 내버리다, 버리다

 

[풀이] 상위의 어짐()無爲하나, 상위의 올바름()有爲한다.

상위의 예절을 행함에 있어 상대가 응하지 않으면 팔뚝을 걷어 올리고 끌어당긴다.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고실도이후덕 실덕이후인 실인이후의 실의이후예

 

18大道廢 有仁義 知慧出 有大僞와 관련된다.

 

[풀이] . 고로 를 잃은 후에 이 있고, 을 잃은 후에 이 있으며, 을 잃은 후에 가 있고, 를 잃은 후에 가 있다.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 前識者 道之華 以愚之始

부예자 충신지박 이난지수 전식자 도지화 이우지시

 

: 빛나다, 찬란하다, 화려하다, 사치하다, 호화롭다, , 세월, 중국

 

前識者(앞날의 일을 미리 아는 것)?

고대중국에서는 陰陽五行說曆法이 결합하여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후에 여기서 인간의 吉凶禍福을 미리 알고자하는 曆術이 파생되니 前識者는 이 역술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陰陽五行說] 우주나 인간사회의 모든 현상 및 만물의 生成소멸(消滅)陰陽五行消長(쇠하여 사라짐과 하여 자라남) 변천으로 묶어 설명하는 말

 

[曆法] 해와 달의 運行같은 천체의 주기적 현상을 기준으로 세시(歲時)를 정하고 五運六氣 같은 曆理를 이용해 농사를 지을 때나 홍수, 가뭄, 폭설 같은 자연재해를 미리 대비코자 했던 방.

 

[五運] 五行의 운행. , , , , 수의 차례를 따르는 상승설과 , , , , 수의 차례를 따르는 상생설이 있다.

 

[六氣] 1)중국 철학에서, 천지 사이에 있다는 여섯 가지 기운. , , , , (), 을 이른다.

2)사람 몸에 흐르는 여섯 가지 기운. (), (), (), (), (), ()을 이른다.

3)음양(陰陽)의 여섯 가지 기운. (), (), (), (), (), ()를 이른다.

 

[풀이] 무릇 라는 것은 忠誠信義가 엷어진 것이며 혼란의 시작이다.

앞일을 미리 알고자하는 것은 의 호화로움이요 어리석음의 시작이다.

 

 

是以大丈夫 處其厚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取此

시이대장부 처기후 불거기박 처기실 불거기화 고거피취차

 

: 살다, 있다, 자리 잡다, 앉다, , 자리, , 무덤, 까닭, 이유, (의문어조사 <>

: , , 살다, 머무르다 돌아가다, 보살피다, 분별하다, 두다, 保持하다( 온전하게 잘 지켜 지탱해 나가다)

 

[풀이] 따라서 대장부는 두터움으로 살되 얄팍함에 머무르지 않아야 한다. 그 본바탕(本質-)을 지켜나가되 그 화려함을 멀리해야 한다. 고로 얄팍한 화려함을 버리고 두터운 본질을 취해야 한다.

 

 

[정리]

상위의 이란 을 의식하지 않고 행하는 것으로 이것이 이 있는 것이요, 下位이란 덕을 잃지 않으려고 얽매이는 것이니 이는 덕이 없는 것이다. 상위의 은 인위적, 의식적으로 하는바 없이 無爲하나 下德은 행함을 의식적으로 즉 有爲로 한다.

상위의 어짐()無爲하나, 상위의 올바름()有爲한다.

상위의 예절을 행함에 있어 상대가 응하지 않으면 팔뚝을 걷어 올리고 끌어당긴다.

 

智. 고로 를 잃은 후에 이 있고, 을 잃은 후에 이 있으며, 을 잃은 후에 가 있고, 를 잃은 후에 가 있다. 무릇 라는 것은 忠誠信義가 엷어진 것이며 혼란의 시작이며 앞일을 미리 알고자하는 것은 의 호화로움이요 어리석음의 시작이다.

 

따라서 대장부는 두터움으로 살되 얄팍함에 머무르지 않아야 한다. 그 본바탕(本質-)을 지켜나가되 그 화려함을 멀리해야 한다. 고로 얄팍한 화려함을 버리고 두터운 본질을 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