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노자. 도, 도덕경(道德經) 도덕경이라고 하면 학교에서 배우던 도덕시간을 떠 올리는데 이건 道經과 德經을 합친 말로 오늘날의 도덕과는 다른 말이다.道자의 원형은 금문(金文)에서부터 보이는 데, 그 의미는 “죄인의 잘린 머리를 거리에서 내보여, 국법을 어겨선 안 된다는 경고를 보이는 글자..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3.12
DNA를 아시나요? 2012.2.13일 오후 10시40분에 방송된 최재천교수의 EBS 기획특강, 공감의 시대, 왜 다윈인가, DNA를 아시나요? 를 시청하고 공감하여 그 내용을 옮긴다. 여기서 생물학자인 최재천 교수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는 인간의 모든 행동에는 생물학적 배경이 있다고 주장한다. .. 인문학에 길을 2012.02.21
통합(統合) 융합(融合) 통섭(統攝) 엊저녁에 우연히 EBS 기획특강 '공감의 시대, 왜 다윈인가'를 보고 여운이 남아 오늘 돌려보기로 두 번을 더 봤다. 통섭이란 단어의 원어 콘실리언스(Concilience)는 미국 하버드 대학의 진화생물학자 윌슨(Edward O. Wilson)이 모든 학문에 공통되는 사실을 언급하는 19세기 때의 단어를 복.. 인문학에 길을 2012.01.11
마음을 움직이는 77가지 키워드 마음을 움직이는 77가지 키워드/최창호 1.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배탈이 났다고 하.. 인문학에 길을 2011.12.06
이 가을, 떠남을 말하다. 탐험가 남영호 “탐험가의 길은 의미찾아 떠나는 순례자의 길” 고비 사막을 횡단하고 있는 탐험가 남영호. 고비 사막에서도 사구가 밀집된 홍고린엘스 지역에서 모래 언덕들을 바라보고 있다. 이 곳의 사구는 높이가 300∼500m에 이른다. 그는 이 사구들을 걸어서 넘었다. 남영호 씨 제공. 이 가을, 떠.. 인문학에 길을 2011.09.29
잘 노는 인생 호모 루덴스, 잘 노는 인생 안빈낙도-채수철. 그림 제공 포털아트 회사생활 30년을 넘긴 중역이 정년퇴임을 했습니다. 퇴임식장에서 감사패 하나 받아들고 만감이 교차하는 표정으로 집으로 돌아온 그에게 아들이 물었습니다. “퇴임을 하셨으니 이제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셔야죠. 회사생활 하시면서 .. 인문학에 길을 2011.09.19
어떤 부부 / 1) 부부. 당신이 인간 세상 내려온 것은 좋은 인연이었네 ◇ 부부/이종묵 지음 308쪽·1만3800원/문학동네 “오늘밤 촛불 켜지 않았더니, 낭군의 얼굴은 보이지 않고, 향긋한 숨소리만 듣다가, 아침에 거울 보고 하는 말, ‘어찌하여 뺨에 바른 연지가 낭군 얼굴에 가득 묻었나요?’” 달콤한 애정소설에나 어울릴.. 인문학에 길을 2011.09.11
SBS ‘짝’ 커플을 통해 본 진화심리학 명문대 여대생, 고졸 정비사에 왜 끌릴까? 《“진짜 예쁘다… 솔직히 3호님이 제일 예뻐요.” “쟤는 외모뿐 아니라 학벌도 되고 직장도 되고….” SBS의 리얼리티 짝짓기 프로그램 ‘짝’은 불편하다. 일반인 남녀 10여 명이 ‘남자 1호’ ‘여자 3호’라는 표지를 달고 ‘애정촌’이라는 숙소에서 6박7.. 인문학에 길을 2011.09.01
물개커플 금실 되돌린 ‘질투의 힘’ 아기 남아메리카물개 ‘온누리’ 공개… 힘겹게 태어난 사연은 ○ 멸종위기종 번식비결은 "삼각관계' 《 서울 광진구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 바다동물관에 사는 수컷 남아메리카물개 ‘물돌이’(7)는 2007년 4월 우루과이에서 한국으로 왔다. 주둥이가 뾰족한 것이 특징인 남아메리카물개는 ‘멸종위.. 인문학에 길을 2011.08.31
블랙홀/태양 크기 별을 삼키고 5개월째 빛을 토하다. 39억 광년 거리 ‘거대질량 블랙홀’ 국내 연구진 핵심역할로 관측 ①정상형태의 별이 거대질량 블랙홀 근처로 다가간다. ②거대질량 블랙홀 근처로 접근한 별은 블랙홀이 잡아당기는 강한 중력 때문에 찢어지듯 파괴된다(빨간 화살표 부근이 블랙홀). ③별을 이루던 잔해(가스) 일부가 블랙홀로 빨려 .. 인문학에 길을 2011.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