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숟가락 교육법 교육의 핵심은 몸을 쓰는 것…창발성도 그때 가능 “잘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 하나 얹었을 뿐입니다.” 2005년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 황정민이 남긴 유명한 소감이다. 영상 작업에서 스태프의 노고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부각해준 말이다. 하지만 배우도 고생스럽긴 마찬.. 인문학에 길을 /고미숙이 말하는 몸과 우주 2012.04.11
<7> 꿈은 ‘병’이다 꿈은 불면증의 원인…성공에 대한 집착 버려야 청춘은 봄이다. 봄은 오행 가운데 목(木)이다. 그래서 교육을 의미한다. 하여, 청춘과 봄과 공부는 하나다. 봄이 그러하듯, 청춘은 그 자체로 충분히 싱그럽다. 그런데 우리 시대 청춘들은 아프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괴담’이 떠.. 인문학에 길을 /고미숙이 말하는 몸과 우주 2012.04.10
茶山의 향기 <7> 실학사상 詩로 말하다 詩 2500수… ‘못다한 愛民’의 슬픔 노래해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그의 시다. 한문학자로서 ‘다산시연구’를 펴낸 송재소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다산은 단지 재능이 뛰어난 시인이 아니라 위대한 시인”이라고 평가했다. 다.. 인문학에 길을 2012.04.10
<도덕경 제29장> 將欲取天下而爲之.. <제29장> 將欲取天下而爲之 吾見其不得已 天下神器 不可爲也 爲者敗之 執者失之 장욕취천하이위지 오견기부득이 천하신기 불가위야 위자패지 집자실지 故物 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挫或隳 是以聖人 去甚 去奢 去泰 고물 혹행혹수 혹허혹취 혹강혹리 혹좌혹휴 시이성..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10
<도덕경> 주석(注釋) 도덕경 중국의 도가서<道家書>, 춘추 시대 末期, 노자가 윤희의 물음에, - 도덕 오천언[五千言]을 적어 준 冊'이라 하나, 실제로는 전국 시대에 있어서의 도가 사상가의 언설을 한나라 초기에 집성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는, 노자(老子)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09
2. 수학의 고향을 찾아서 [플라톤] 델로스섬 주민, 哲人이 낸 문제 푸느라 전염병 공포도 잊었다 《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이곳에 들어오지 마라.” 그리스의 대철학자 플라톤(기원전 427∼기원전 347)은 기원전 387년 ‘아카데미아’를 세우면서 정문에 이렇게 새겼다. 흔히 철학자로 알려진 플라톤이 사실은 인류 수학사.. 인문학에 길을 2012.04.07
<14>청춘, 에로스의 향연 에로스는 ‘이팔청춘’이 누려야할 최고의 특권 ‘동의보감’에 따르면 여성의 생체주기는 7단위로 변화한다. 7세, 14세, 21세…. 14세에 초경을 하고 49세에 폐경이 된다. 남성은 8단위다. 8세, 16세, 24세…. 16세부터 남자가 되고 64세가 되면 생식력이 그친다. 요컨대 여성은 14세, 남성은 16세.. 인문학에 길을 /고미숙이 말하는 몸과 우주 2012.04.07
<13> 멜로의 함정 멜로에 빠질수록 ‘기억’에 붙들려 감성과 지성 퇴행 드라마 ‘해를 품은 달(해품달·사진)’의 히트 탓인지 대중문화계에 멜로가 한창 붐을 이루고 있다. 주지하듯이, 멜로는 ‘청춘의 에로스’에 대한 판타지다. 장르적으로 판타지라는 뜻이 아니라 ‘리얼리티’가 거의 없다는 점에.. 인문학에 길을 /고미숙이 말하는 몸과 우주 2012.04.07
茶山의 향기<6> 올바른 교육을 묻다 《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은 전라도 강진에서 18년간 유배생활을 하면서 아이들을 직접 가르쳤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중앙 사대부에게만 집중된 당시 교육체계의 문제점과 구태의연한 교육방식을 심각하게 고민했다. 그러고는 여러 저술을 통해 아동교육에 대한 분석.. 인문학에 길을 2012.04.06
茶山의 향기 <5> 정보화시대 지식경영법 “지식 다스리면 뭐든 할 수 있어”… 수원 화성 30개월 만에 쌓아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던 18세기 조선에는 청나라의 백과전서가 쏟아져 들어왔다. 널려 있는 온갖 정보를 수집하고 배열해 체계적이고 유용한 지식으로 바꾸는 것은 당시 지식인들의 주요 임무였다. .. 인문학에 길을 201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