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제11장> 三十輻共一轂... <제 11장> 三十輻共一轂 當其無有車之用 삼십복공일곡 당기무유거지용 埏埴以爲器 當其無有器之用 선식이위기 당기무유기지용 鑿戶牖以爲室 當其無有室之用 착호유이위실 당기무유실지용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三十輻共一轂 當其無有..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7
<도덕경 제10장> 載營魄抱一... <도덕경 10장> 載營魄抱一 能無離乎 專氣致柔 能嬰兒乎 滌除玄覽 能無疵乎 재영백포일 능무리호 전기치유 능영아호 척제현람 능무자호 愛民治國 能無爲乎 天門開闔 能爲雌乎 明白四達 能無知乎 애민치국 능무위호 천문개합 능위자호 명백사달 능무지호 生之畜之 生而不有 長而..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9장> 持而盈之... <도덕경 9장> 持而盈之 不如其已 揣而銳之 不可長保 金玉萬堂 莫之能守 지이영지 불여기이 취이예지 불가장보 금옥만당 막지능수 富貴而驕 自遺其咎 功遂身退 天地道 부귀이교 자유기구 공수신퇴 천지도 持而盈之 不如其已 지이영지 불여기이 已: 이미, 벌써, 써, 이, 말다, 그치..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8장> 上善若水... <도덕경 제8장>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상선약수 수선리만물이부쟁 처중인지소오 고기어도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 故無尤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신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부유부쟁 고무우 이글을 이해하기 쉽..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7장> 天長地久... <도덕경 제7장>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천장지구 천지소이능장차구자 이기불자생 고능장생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耶 故能成其私 시이성인후기신이신선 외기신이신존비이기무사야 고능성기사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6장> 谷神不死 是謂玄牝.. <도덕경 제6장>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是謂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곡신불사 시위현빈 현빈지문 시위천지근 면면약존 용지불근 谷神不死 是謂玄牝 곡신불사 시위현빈 神: 귀신, 신령, 정신, 혼, 덕이 높은 사람, 靈妙하다, 신기하다, 神은 우리의 의식에 신령이라는 개념으로..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5장> 天地는 不仁하여.... <제5장>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 天地之間 其猶橐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多言數窮 不如守中 천지지간 기유탁약호 허이불굴 동이유출 다언삭궁 불여수중 天地不仁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以百姓爲芻狗 ..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 도충이용지혹불영 연혜사만물지종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湛兮似或存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담혜사혹존 오부지수지자 상제지선 道沖而用之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 도충이용지혹불영 연혜사만물지종 ..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6
<도덕경 제3장> 不尙賢 使民不爭 ... <도덕경 제 3장>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불상현 사민부쟁 불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 불견가욕 사민심불란 是以聖人之治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 시이성인지치 허기심 실기복 약기지 강기골 常使民無知無欲 使夫知者不敢爲也 爲無爲則..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5
<도덕경 제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도덕경 제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天下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천하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 인문학에 길을 /도덕경 2012.04.24